Q. 아이가 친구 관계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해결하게 돕는 방법은?
안녕하세요. 친구 관계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해결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아이가 스스로 해결하도록 해 주시는 게 가장 중요해요. 가능한 보호자가 개입하지 않도록 하고, 개입하더라도 조언을 주는 정도에 그치는 게 좋습니다. (단, 따돌림, 물리적 폭력 등의 경우 보호자가 교사 등에게 이야기하여 문제 해결 방안을 논의해 나가는 것이 필요함.) 아이가 스스로 해결하도록 도와 주시고, 그 친구와 왜 다투게 되었는지, 어떻게 생각하는지, 앞으로 어떻게 해결하고 싶은지 등 이야기를 하여 아이가 이야기를 통해 슬기롭게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주시기 바랍니다.
Q. 아이 피아노 콩쿠르 대회 준비 어떻게 하나요?
안녕하세요. 콩쿠르 대회 연습은 사실 집에서 하는 거에는 한계가 있고, 보통 다니는 학원에서 시켜 주실 겁니다. 학원 선생님과 상담하여 목표를 어떻게 할지, 연습을 어떻게 할지 등을 고려하여 이야기를 나누고 아이가 연습하도록 도와 주시기 바랍니다. 집에서 준비한다면, 대회에서 연주할 곡, 어떻게 연습할지 등을 아이와 이야기를 나누어 결정해 보시기 바랍니다.
Q. 예비고1 국어 통합사회 통합과학 공부법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국어 : 국어는 출판사마다 수록된 지문이 다르고, 학교마다 모의고사 지문을 시험 범위에 넣기도 합니다. 국어가 특히나 선생님의 수업이 가장 중요해요. 학교 수업에서 선생님이 해석해 주신 지문, 중요하다고 하는 포인트를 암기해 주시고, 해당 교과서의 출판사에 맞는 자습서와 평가 문제집을 구입하여 대비하시기 바랍니다. 대부분의 학교가 부교재를 사용하거나, 모의고사 지문을 시험 범위에 넣기도 하므로 이러한 부교재와 모의고사 지문도 꼼꼼히 공부해야 합니다. 국어는 사실 방학 중에는 공부할 게 많지 않고 (내신은요.) 평소에 열심히 수업을 듣고, 학기 중에 공부를 하셔야 합니다.통합사회 : 통합사회는 학교 수업이 역시 중요하기는 합니다. 사회는 굳이 출판사에 맞춰서 구입할 필요는 없지만, 사회는 교과서에 수록된 탐구 활동이나 지문에서 문제를 내기는 하므로, 역시 출판사에 맞는 자습서와 평가문제집을 구입할 것을 권장합니다. 사회도 강조하는 포인트를 꼼꼼히 듣도록 하고, EBSi (무료), 이투스나 메가스터디 (유료) 등의 내신 대비 인강을 들어보시기 바랍니다.통합과학 : 세 가지 과목 중에서는 그래도 가장 출판사 영향을 받지 않고, 또 미리 공부하는 게 좋은 과목입니다. 과학 개념은 어려운 게 많으므로 미리 인강을 들으면서 익혀두는 걸 추천합니다. 문제를 풀어보시고, 개념을 이해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공부를 해나가셔야 합니다.정리하자면,국어 > 반드시 출판사에 맞는 자습서, 평가문제집 구입통합사회 > 출판사에 맞는 자습서, 평가문제집 구입 권장, 방학에 간단하게 공부하는 것도 OK통합과학 > 출판사에 맞춰서 문제집 구입할 필요 없음, 방학에 공부할 것을 적극 권장 (과학에 약하다면 반드시, 과학을 잘한다면 굳이 안해도 됨.)
Q. 아이가 학교에서 경험하는 문제를 잘 해결하는 방법은?
안녕하세요. 아이가 학교에서 경험하는 문제를 잘 해결하기 위해서는 평소에 문제를 해결하는 연습을 해나가고,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 익숙하게 기억하는 것이 필요합니다.구체적으로는 폭력을 사용하지 않기, 잘못을 했다면 먼저 사과하기, 부드럽게 이야기하기, 이야기할 때 차례 기다리기 등이 있습니다.해결이 잘 되지 않거나, 속상한 일이 있다면 교실이라면 담임 선생님, 학원이라면 학원 선생님 등에게 이야기를 하여 도움을 요청하도록 합니다. 이때는 본인이 원하는 것(다시 친구와 친하게 지내고 싶다, 친구가 사과를 해주었으면 좋겠다 등)을 명확히 요청하도록 합니다.
Q. 아이의 자존감을 높이기 위한 방법은?
안녕하세요. 아이의 자존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아이에게 긍정적인 격려와 칭찬을 많이 해주는 게 좋습니다. 이때, 선천적으로 타고난 요소나 혹은 결과 등에 대해서 초점을 두어 칭찬을 하면 오히려 아이가 자존감을 잃을 수 있으니 주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아이가 좋아하는 것, 잘하는 것, 배우고 싶은 것, 관심이 있는 것 등을 발견하는 기회를 제공하고, 이를 가꾸어 갈 수 있도록 도와 주어 아이가 자신감을 얻고, 점진적으로 자존감도 높일 수 있도록 도와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