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보수적인 사람과 극우적인 사람의 차이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보수주의는 한자 그대로 지킨다는 의미로서 현재의 정치 문화 경제적인 것을 과거 부터 이어서 발전시킨다는 것이며, 우익(우파)는 점진적인 개혁으로 개선해 나간단 뜻을 지니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현재 극우라고 말하는 사람들은 일본의 경우 특정 다른나라 사람, 여성 또는 남성, 특정 사람, 특정 당파를 극단적으로 멀리하고 혐오하는 사람들로 생각되죠.그렇기에 보수가 꼭 극우가 되는 것이 아닌 서로 약간은 비슷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나 극우는 설명 그대로 소수의 사람들이고 보수는 일반적인 의미라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Q. 우리가 좌파우파 이렇게 하는 것은 언제부터 생겨 났나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좌파 우파는 우리나라에서 만들어진 단어가 아닙니다. 프랑스대혁명시기 급진적 개혁파가 의회의 좌측에 앉아서 좌파, 온건적 개혁파가 우측에 앉아서 우파가 된 것입니다. 우리나라처럼 말도 안 되는 이유로 좌파면 종북이고, 우파면 친일이라는 개념이 아니란 것이죠. 물론, 이러한 좌파우파 프레임을 우리나라 정치꾼들이 만들어내고, 이를 편가르기를 통해서 표를 받으려고 한 것이죠.
Q. 로마의 ‘빵과 서커스’ 정책은 로마 시민들의 삶과 정치적 안정에 어떤 영향을 주었나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로 예를 들면 전두환은 3S라는 것으로 국민들의 불만을 돌리려 했는데요. 스포츠(sports), 성(sex), 영상(screen)의 첫글자를 따서 3S 정책이라 부르며 민주화를 요구하는 국민들의 시선을 돌리기 위해 펼친 정책이 과거의 로마가 행했던 빵과 서커스 라는 것이죠. 이탈리아의 로마에 가게 되면 거대한 석조건축물인 콜로세움이라는 곳이 있는데요. 콜로세움은 약 5만~8만명 정도가 동시에 입장할 수 있는 경기장이며 여기서 전투를 재연하거나, 격투가들이 목숨을 걸고 싸움을 했습니다. 또한 정치인, 황제가 왔을 때는 관중들 시민들에게 빵을 던져주며 호응을 이끌었고, 격투(서커스)를 보여주면서 그들이 열광하고 정치적인 불만을 갖지 않도록 만들었습니다.
Q. 한국에는 왜 유독 사이비 종교가 많을까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에만 사이비가 많은 것은 아니구요. 전세계적으로 기독교 관련 사이비 종교 자체가 많은 것이죠. 이러한 것은 중세에도 그랬고, 그 이후에도 계속 사이비는 등장하는데요. 기독교의 경우 성서를 해석하는 사람에 따라서 상당히 달라질 수 있고, 목사와 같은 종교지도자의 말빨, 능력 등에 따라서 믿는 사람이 빠져들어 사이비종교에 빠질 수 있습니다.사이비 종교에 빠지는 사람의 경우 기독교에 대한 독실한 믿음은 있으나 명확한 기준이 흔들릴때, 현재 힘든 상황이라 의지할 곳이 필요할 때, 또는 나름 지식이 풍부하고 똑똑하다고 믿는 사람들도 빠져들게 되죠.
Q. 로마의 도로망과 이를 통한 물자 이동이 제국의 확장과 유지에 어떤 기여를 했나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현재 미국을 보시면 거대한 대륙을 트럭을 통해서 물자를 동에서 서로, 북에서 남으로 이동하고 있는데요. 이는 물자를 이동하는데 있어서 도로의 중요성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도로를 통해서 정보가 오고 갈 수도 있었죠.물자가 원활하게 이동하고, 거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면 경제가 살아나고, 생겨난 수익으로 세금도 걷고, 이러한 경제흐름에 동참하기 위해 로마 외의 국가에서도 동참하게 되죠. 그러면서 로마에는 더 많은 사람과 물자가 몰리게 되고 부가 상승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