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진심으로 감사를 표현하는 대화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 말하는 자의 대화법이라기보다, 이러한 경우에는 받아들이는 사람 쪽의 입장에서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겠습니다.예를 들어, 아무리 말하는 사람이 감사의 의미를 전달하기 위하여 고민고민하고 멋진 혹은 감동적인 언어로 감사의 말을 전언하더라도, 받아들이는 사람이 그 말을 진심으로 받아들이지 못한다면 아무런 의미가 없다고 하겠습니다.그러므로 대화법에 있어 어떤 말을 하느냐보다는 어떤 타이밍에 어떤 장소와 어떤 맥락과 분위기 속에서 그 감사의 말을 상대방에 전언하느냐, 이것에 달려있다고 보는게 타당하다고 하겠습니다!!!
Q. 언어를 아는 것과 논리적으로 생각하는 것과는 관계가 없나요?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 언어(Language)라는 것은 단순히 글자나 말만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닌, 좀 더 확장된 개념으로 인간사회의 문화, 관습 등을 총화한 개념이라고 할수 있겠습니다.특히나, 오랜 역사를 가진 사회/국가 집단에서는 이 언어를 사용한 역사의 기록, 문화유산 등이 계속 몇백년, 혹은 길게는 몇천년 씩 누적되어 그 점층된 문화적 성과물로 그 사회에 투영되므로, 세계의 각국이 모인 총합적 단체 등에서도 유네스코 문화유산 등으로 지정하여 그 깊이와 성과를 세계의 모든 사람들과 공유하는 것이겠습니다.그러므로 단순히 좁은 의미의 언어의 정의만으로 단정지어 생각하고 성급한 정의 및 결론으로 유추하는 것은 무리가 있을 수 있겠다고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