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퇴사후 경쟁사 이직 제한 유효성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구고신 노무사입니다.세부 조건에 따라서는 그 유효성이 문제될 수는 있는데, 기본적으로는 법률적으로도 효력이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보통 기업에서 이직을 하면서 특정 경쟁업체들을 지정하여 일정기간 동안은 이직하지 못하도록 약정을 체결하는 경우가 있는데이것을 경업금지약정이라고 합니다회사의 경쟁력이나 보안자료 등을 보호하기 위한것으로 법원에서도 합리적인 수준의 이직제한, 경업금지약정의 효력을 인정해 줍니다다만 그 기간, 업제의 제한범위, 보상의 지급여부 등에 따라 판단이 달라질 수는 있는데, 구체적인 내용이 없어 세부 판단은 어렵네요
Q. 주5.5일 하루 11시간 근무 급여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구고신 노무사입니다.정리해보면 주 5.5일, 하루 11시간 근무이며(수목금토일), 화요일 6시간 근무, 총 주 61시간을 일하고 계십니다근무 조건에서 5인 미만 사업장이며, 4대 보험 공제 후 세후 약 270만원을 받고 있으며 주휴수당 포함 여부 확인 요청입니다.임금의 적정성을 판단하려면 본인이 계약한 시급이 얼마인지를 알려주셔야 정확한 계산이 가능합니다이에 대한 정보가 없기 때문에 현재 기재된 정보를 가지고 역산을 해보겠습니다61시간 근무 기준 월 급여를 시급으로 환산하면 시급 기준 약 10,000~11,000원 수준이며,이는 최저임금을 초과합니다.여기서 4대 보험료(약 9.4%) 및 소득세 등이 공제되어 세후 270만원이면 대체로 월 총급여 300만원 내외 정도 추정 가능합니다때문에 현재 받는 임금은 주휴수당 및 최저임금조건을 모두 충족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Q. 우리나라 사업자들의 평균 임금수준이요
안녕하세요. 구고신 노무사입니다.일단 질문자체가 모순이...사업을 하는 사람들은 임금을 받는게 아니죠..그리고 성공한 사업자의 모습이 비춰져서 그렇지, 오히려 사업하는 사람들의 평균소득은 처참합니다대한민국은 준비 안된 사업자,자영업자가 너무 많아서 곤란할 지경이죠실제 한국에서 자영업자(사업자)의 2025년 기준 평균 소득은 연 약 3,200만 원 수준으로 나타납니다. 이는 월로 환산하면 대략 266만 원 정도입니다. 다만 업종이나 규모에 따라 큰 격차가 있으며, 상위 1%의 경우 연 소득이 약 4,800만 원 이상인 경우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