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동향

청렴한백로27
청렴한백로27

3저 호황이 무엇인지 알려주세요

전두환 정권시절 3저 호황이라고 정말 살기 좋았다고 하는데 3저호황이 무엇인지 자세히 알려주시고 3저호황이 올수있었던 시대적 배경이 무엇인지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3저호황이란 1980년대 중반 전 세계적인 저금리·저유가·저달러(환율) 현상을 통한 경제 호황을 의미합니다. 당시 저금리를 통한 기업의 투자 여력 상승, 저유가를 통한 원가 절감 효과, 저달러를 통한 수출이 늘어났습니다. 이를 통해 한국 경제는 1986~1988년까지 연평균 12.1% 성장하고 처음으로 국제수지 흑자를 기록하는 호황을 누렸습니다. 이러한 호황을 누렸던 한국은 큰 외채 규모에 발목을 잡히게 되었습니다. 금리가 낮아 돈을 많이 빌려왔지만, 세계 각국이 이를 회수하면서 외환 위기의 시발점이 됐습니다. 1990년대 중반 미국발 금리 인상도 타격이 됐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양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3저 호황

    3저 호황이란 ‘3저’라는 이름이 상징하듯이 ‘저유가’, ‘저금리’, ‘저달러’를 바탕으로 한국 경제가 무릉도원에서 꽃놀이 하던 시절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1986년, 1987년, 1988년이 이 시기에 해당합니다.

    ■ 저유가 : 국제 유가, 쉽게 말해서 석유값이 1980년에 배럴당 40달러를 찍고 하락을 시작합니다. 덕분에 물가안정을 이룰 수 있었습니다.

    ■ 저금리 : 1980년대 우리나라는 외국에 진 빚이 장난 아니었습니다. 세상에서 몇 손가락 안에 들 정도의 수준이었습니다. 덕분에 늘 빚쟁이들에게 시달리고, 이자 걱정으로 밤 잠을 제대로 못 잘 정도였습니다. 그런데 국제금리가 하락하면서 이자부담을 잊고 어느정도 꿀잠을 잘 수 있게 됩니다.

    ■ 저달러 : 1985년 '1달러 = 260엔'까지 갔던 엔/달러 환율이 1988년에는 '1달러 = 123엔'까지 하락합니다. 엔/달러환율이 이렇게 하락하자, 미국의 수입업자는 당황(?)하게 됩니다. 옛날에는 1달러를 가지고 일본에 가면 260엔짜리 물건을 살 수 있었는데 이제는 123엔짜리 물건밖에 구입을 못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미국의 수입업자가 일본에서 방향을 틀어 한국을 찾아왔습니다. 덕분에 수출을 증가하고 대한민국 경제가 봄날을 맞이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980년대 중반 이후 전 세계적으로 나타난 저유가·저달러·저금리 현상을 가리키는 경제용어를 말합니다.

    유가가 낮아지면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 입장에서는 비용이 줄어드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저금리의 경우 돈을 막 풀 수 있어서 투자가 늘어나는데, 성장이 필요한 나라에서는 달러를 차입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도움이 됩니다.

    그래서 외환 보유가 적었던 우리나라 입장에서 3저 현상은 경기를 성장시킬 좋은 시기였던 것입니다.

    저 시기는 지금과 달리 미국이나 전 세계가 시장이 안정되었기에 유가도 내려가고, 달러도 안정되고 금리도 내려갈 수 있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3저 호황이란 ‘3저’라는 이름이 상징하듯이 저유가, 저금리, 저달러 바탕으로 한국 경제가 너무 좋은 환경에서 에서 꽃 놀이 하던 시절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서울 올리픽 이전부터 1986년, 1987년, 1988년이 이 시기에 해당하지요. 배럴당 유가가 하락하고 달러대 엔화의 가치가 상승 함으로써 미국의 기업들이 이제 한국 기업으로 눈을 돌려 한국 기업들이 수출 성장의 발판을 마련하는 시기가 되었지요.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980년대 중반 이후 전 세계적으로 나타난 저유가·저달러·저금리 현상을 뜻 합니다.

    당시 한국은 제조업을 기반한 수출경제 확대를 추진하였습니다. 저금리를 배경으로 각 기업들은 공격적은 투자를 단행하면서 몸집을 키워나갔고, 저유가/저달러 수입 원자제 가격을 낮춰서 기업들의 원가 경쟁력을 높였습니다.

    이런 배경에 힘입어서 한국은 초고속 성장을 이루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3저 호황이란 '3저'라는 이름이 상징하듯이 '저유가', '저금리', '저달러'를 바탕으로 한국 경제가 무릉도원에서 꽃놀이 하던 시절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1986년, 1987년, 1988년이 이 시기에 해당됩니다.

    다음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73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