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흑두루미
흑두루미23.05.16

거울이 빛을 반사를 하는 원리가 궁굼 합니다.

거울에 빛을 비추면 빛을 반사를 하는데 어떤 원리로 빛을 반사 할수 있는건지 궁굼 합니다.

물체의 모습을 비추기도 하고 빛을 쏘이면 반사도 하고 신기 하던데 도움 부탁 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이 물체 면에서 반사할 때 일정한 규칙이 있습니다. 거울 면에 들어가는 빛을 ‘입사 광선’, 거울 면에서 반사된 빛을 ‘반사 광선’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거울 면에 빛이 닿는 곳에서 거울과 수직인 선을 ‘법선’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입사 광선과 법선이 이루는 각을 ‘입사각’이라고 하며, 반사각은 반사 광선과 법선이 이루는 각을 ‘반사각’이라고 합니다. 입사 광선과 반사 광선, 법선은 모두 한 평면에 있습니다. 이때 입사각과 반사각은 같습니다. 이것을 ‘반사의 법칙’이라고 합니다.

    유리면이나 광택이 나는 금속과 같이 매우 매끄러운 면에서 빛이 반사할 때에는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반사합니다. 이러한 반사를 ‘정반사’라고 합니다. 정반사에서는 표면에서 반사의 법칙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고, 우리는 반사되는 면보다는 그 면에 비친 물체의 모습을 보게 됩니다.

    출처 : 대한민국 교육부 블로그 - 거울이 우리의 모습을 비추는 원리는?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거울에 발려져있는 금속의 특징은 광택이 난다는것인데, 원자핵간 거리가 좁고 자유전자가 표면에 돌아다니고있는 특성이 있어 빛이 투과하기 어렵습니다. 또한 표면이 매끈하여 난반사가 일어나지않아 상이 뭉게지지않게 반사되는특성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빛은 전자기파로서 진행하는 전자기 에너지입니다. 거울 표면은 전자기파를 반사할 수 있는 자유 전자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때, 빛의 전자기파가 거울 표면과 만나면 전자들이 진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새로운 전자기파가 생성됩니다. 이 새로운 전자기파가 거울로부터 반사되어 우리가 보는 이미지가 형성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거울은 유리의 한쪽면에 알루미늄등으로 코팅을 한것입니다.

    유리기 거울이 된다기 보단 코팅을 하기위해 모양을 잡아주는 역할을 유리가 하고

    거울의 역할은 코팅된 물체가 하는 것입니다.

    빛반사율이 좋은 물질로 코팅을 하기 때문에 물체를 볼수 있기도 하고 빛을 반사하기도 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 것 처럼 거울에는 반사의 법칙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가장 흔히 사용되는 평면 거울의 원리는 설명 드리면, 평면 거울의 경우 매끄러운 평면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햇빛 등의 광원에서 시작된 빛이 물체에 부딪혀 반사되고 이 때 반사된 빛이 인간의 눈에 닿게되는 과정을 거울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거울의 표면이 매끈하고 매끄러워서 빛이 반사될 때 항상 일정한 각도로 반사됩니다 이로 인해 우리는 거울에서 물체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거울이 빛을 반사하는 원리는 빛의 광선이 반사되는 것입니다. 빛은 직진하다가 특정한 매질과 만나면 굴절되거나 반사됩니다.

    거울은 매끄러운 표면이며, 빛이 반사될 때 거울 표면에서 반사각과 입사각이 서로 같은 각도를 이룹니다. 이것을 반사법칙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거울에 빛이 직각으로 입사하면, 빛은 거울 표면에서 반사되면서 진행 방향이 180도 반대 방향으로 바뀝니다. 만약 빛이 어떤 각도로 거울에 입사하면, 빛은 거울 표면에서 반사되면서 입사각과 반사각이 서로 같은 각도를 이루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거울에 빛을 반사하면 반사의 법칙에 의해 빛이 들어가는 각과 반사되는 각이 같으므로 거울의 표면의 굴곡에 따라 반사되어 사물의 모양이 다르게 보이게 됩니다. 평면 거울의 물체의 모습을 최대한 실제와 가깝게 보여 줍니다

    볼록거울이나 오목거울은 거울의 형태에 따라 다르게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거울은 물체의 모습을 최대한 실제와 가깝게 보여 줍니다. 그것은 거울의 표면이 편평하고 매끄러워서 모든 빛이 일정한 각도로 반사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평면 거울은 물체의 크기를 그대로 나타내면서 왼쪽과 오른쪽이 거울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이 되어 반대로 보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표면이 매끄러운 물체는 빛을 일정한 방향으로 반사하기 때문에 물체에 주변의 모습이 잘 비치지만, 표면이 매끄럽지 않은 물체는

    빛을 여러 방향으로 반사하기 때문에 물체에 주변의 모습이 잘 비치지 않습니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해서 거울이 만들어졌으며,

    현대 거울은 투명한 유리에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씌워 만듭니다.

    거울의 종류에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평면 거울과 볼록 거울, 오목 거울이 있습니다. 거울에 빛을 반사하면 반사의 법칙에 의해

    빛이 들어가는 각과 반사되는 각이 같으므로 거울의 표면의 굴곡에 따라 반사되어 사물의 모양이 다르게 보이게 됩니다.

    도움 되셨기를...^^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16

    안녕하세요. 박형진 과학전문가입니다.

    거울은 유리 반대편에 알루미늄 막을 씌워 빛이 그냥 통과하지 못하고 반사되어 모습을 비출수 있게 특수 제작한 물건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평면 거울은 매끄러운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빛은 수평선과 같은 각도로 거울 표면에 닿을 때 반사됩니다. 이때 반사되는 빛의 각도는 입사각과 동일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빛이 거울에 수직으로 닿으면 반사되는 빛은 수직으로 나아가게 됩니다. 또한, 빛이 거울에 어떤 각도로 닿게 되면, 반사되는 빛은 동일한 각도로 거울의 반대쪽으로 반사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