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견실한저빌71
견실한저빌71
22.11.09

은행금리가 계속 상승하는데 우리경제에 어떤 영향이 있을까요?

미국의 계속된 금리인상으로 우리나라도 덩달아 은행금리가

상승하고 있는데 금리인상으로 우리나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류경태 경제전문가blue-check
    류경태 경제전문가
    22.11.09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최근 은행의 금리가 계속해서 상승함에 따라서 가장 큰 영향을 받게 되는 것들은 대출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것들로 정리해서 말씀드릴게요. 금리가 상승하게 되면 우리나라의 가장 큰 리스크로 꼽을 수 있는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개인부채 1,900조원과 변동금리 비율이 80%이상

    • 태양광대출 17조 6천억원 중 변동금리 비율 90%

    • 부동산 침체로 인한 PF대출의 부실화 가능성

    • PF대출의 부실화로 인한 건설사들의 부도 가능성

    • 건설사 지원을 한 저축은행, 캐피탈, 증권사의 부도 가능성

    • 임대사업자들의 이자비용>임대수익 으로 인한 부실 가능성

    금리가 계속해서 상승하게 된다면 현재 위와 같이 제기되고 있는 현재의 문제들이 실제로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는 것입니다. 저 중에서 소득이 낮은 분들부터 부실화가 시작되고, 오피스텔이나 상가와 같은 임대사업자분들은 대부분 대출을 받아 구입하여 지금의 금리상황에서도 이자금액이 임대수입을 넘어서는 상황에 처하였습니다.

    위와 같은 리스크들이 실제로 발생하게 될 경우에는 심각한 경기침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에 한국은행은 미국의 금리를 빠르게 쫓아가지 못하고 있었던 것도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랄게요!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국의 금리인상으로 우리나라 기준금리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개인 가계대출 증가와 기업등 부채증가등으로 지속적인 금리인상은 소비감소와 기업의 부도 및 실업률증가등으로 이어질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의 변동은 우리나라 경제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만 일반적으로 현재의 금리정책은 치솟는 물가를 억제하기 위한 정책으로 사용되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다만 이로인해 부작용(경기침체 등)이 나타날 수 있고, 주식이나 코인 부동산 등의 자산가격에는 악영향이 미치며 현재의 장세가 좋지 않은 상황에 직면해 있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은행의 금리가 상승됨에 따라서 시중의 유통되는

    통화의 양이 줄어들어 물가가 안정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경기침체를 유발할 수도 있으며 또한

    부채가 많은 가계 및 기업 등에 어려움을 줄 수도 있으니

    참고하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2.11.09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경제는 2022년에 금리인상과 투자가 위축됨에도 불구하고 민간소비가 반등하며 2.8% 성장한 후, 2023년에는 수출 증가세가 둔화되면서 성장률이 2.3%로 하락할 전망됩니다. 그리고 소비자물가는 2022년에 경기 회복과 국제유가 급등의 영향으로 4.2%의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후, 2023년에는 국제유가가 안정되면서 2.2%로 상승률이 하락할 것으로 전망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