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의 놀이와 학습의 균형을 어떻게 맞춰줘야 할까요?
모든 가정의 공통 과제인데요. 아이에게는 놀이가 중요하지만 사실 학습도 필수적입니다. 부모가 어떻게 하면 두 가지를 균형있게 조정해서 아이가 즐거운 환경에서 성장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박수진 유치원 교사입니다.
이와 학습을 균형있게 조정하기 위해서는 규칙적인 학습 시간을 정하되, 재미있는 방법으로 접근하세요. 퀴즈나 실험을 통해 학습하면 흥미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놀이와 학습을 균형있게 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놀이를 통해 학습 할 수 있는 활동을 마련하세요. 퍼즐, 보드게임 등을 통해 수리적 사고와 창의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은 놀이를 통해서 조절력, 회복탄력성, 그리고 사회성 등을 기르며 학습을 위한 여러 가지 준비를 하게 됩니다. 따라서 아이가 여러가지 게임을 통해서 규칙을 적용하고 놀이할 수 있도록 지지해주시고 연령에 맞는 여러가지 보드게임을 접하면서 수감각이나 도형 감각 등을 익힐 수 있도록 해주세요. 또 책을 많이 읽어주셔서 학습의 기본이 되는 '읽기 능력'을 키워주시기 바랍니다.
초등학교에 진학하고 나서는 이제 학습 습관을 본격적으로 길러야 하는 시기이므로 자유 놀이 전에 하루 공부나 숙제를 먼저 끝내고 할 수 있도록 습관을 잡아주세요.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놀이와 학습의 경계를 없애는 것이 좋습니다.
놀이를 통해서 학습을 할 수 있습니다.
퍼즐 놀이나 보드 게임을 통해서 문제 해결 능력이 자라나고, 사고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놀이를 충분히 시켜 주시면서, 하루에 일정한 시간은 학습을 시켜주시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학교를 들어가기 전에는 보통은 놀이를 통해서 학습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아이들이 마냥 좋아하는 인형놀이나 로보트놀이를 해주시면서도 아이들의 학습을 도와줄 수 있는 놀이도 같이 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이렇게 해주시면 아이들도 조금씩 발전을 하게 될겁니다. 본격적으로 학습을 하기 전에 이렇게 놀이를 통해서 조금씩 교육을 시켜주시면 아이가 추후에 스트레스를 받는일은 많이 줄어든다고 하니 참고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놀이와 학습을 통합한 활동을 제공하세요. 예를 들어 자연탐방 중 식물이나 동물을 관찰하며 배울 수 있도록 하고, 재미있는 게임을 통해 학습내용을 연습해 보세요.
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자녀의 놀이와 학습의 균형을 맞추러면 일상에 자연스러운 놀이 학습을 통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놀이 시간을 학습활동과 연결하거나 교육적인 게임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일정한 루틴을 정해 두어, 놀이와 학습 모두 충분히 즐길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채수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어린 나이에는 학습보다는 놀이에 초점을 두는 게 좋으며, 놀이를 통한 학습을 추구하는 게 좋아요. 그리고 점점 배워야 하는 교과 학습량이 늘어날 텐데, 이때부터는 점진적으로 학습에 초점을 두면 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자녀가 스스로 놀이와 학습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셍. 관심있는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탐구하게 하여 학습에 대한 흥미를 높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하루의 일과를 정리하여 놀이와 학습의 시간을 일정하게 분배하세요. 오전에는 학습활동, 오후에는 놀이시간을 가지는 식으로 계획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놀이와 학습은 서로 대립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보완적인 요소로 이해해야 합니다. 부모는 아이가 놀이를 통해 배우는 점을 존중하면서도, 학습 활동을 놀이처럼 재미있게 진행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수학 개념을 가르칠 때는 숫자 카드를 활용한 게임을, 언어 학습은 역할 놀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도록 할 수 있습니다. 아이가 놀이에서 얻은 경험을 학습과 연계하는 방법도 좋습니다. 예를 들어, 자연에서 놀며 관찰한 식물이나 곤충을 주제로 책을 읽거나, 그림을 그리면서 아이가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은 아이가 학습을 부담으로 느끼지 않고, 놀이의 연장선상에서 즐겁게 배울 수 있게 해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