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양육·훈육

이지로운블루밍618
이지로운블루밍618

지속적으로 어른들 말을 끊고 자기 이야기만하려하는 아이는 어떻게 지도할 수 있을까요?

대화시에 어른의 말을 자주 끊고 자기 얘기를 하려고 할 때가 있습니다. 친구들과 대화할 때도 비슷한 모습을 보입니다. 어떻게 해야 아이가 차분히 기다리며 대화에 참여할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어른의 말을 끊는 것은 아직 사회적 규칙을 완전히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이 나이의 아이들은 자신의 생각이나 이야기를 즉각적으로 표현하고 싶어 하며, 다른 사람이 말하고 있을 때도 참지 못하고 끼어들곤 합니다. 먼저, 부모는 차례를 기다리는 것이 대화의 중요한 규칙임을 가르쳐야 합니다. "엄마(아빠)가 말하고 있을 때는 조금 기다려야 해"라고 알려주고, 차례를 지키는 연습을 할 수 있는 게임을 통해 아이가 그 개념을 재미있게 배울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또한, 아이가 대화 중에 끼어들지 않고 기다렸을 때는 칭찬해주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이를 통해 아이는 대화에서 존중과 배려의 중요성을 배우게 될 것입니다. 아이가 참지 못하고 끼어들 때는 부드럽게 "지금은 엄마(아빠)가 이야기하고 있으니까, 잠깐만 기다려줘"라고 일관성 있게 알려주는 것도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대화 시 어른들의 말을 끊는 이유는 자신의 감정을 빨리 전달하고자 하는 욕구가 강하기 때문 입니다.

    그렇기에 아이가 대화 시 말을 끊는 행동을 한다면 사람들이 다 각자 자신들의 가정으로 돌아간 후 아이를 방 안으로 데리고 들어가 아이를 앉히고 아이의 손을 잡고 아이의 눈을 마주치면서 단호한 어조로 사람들과 대화를 할 때 말을 끊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고, 왜 말을 끊는 행동이 옳지 않은지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설명을 해주세요.

    또한 자신의 생각을 전달하고자 한다면 사람들의 이야기를 귀 기울여 잘 듣고, 사람들의 이야기가 끝나면 그때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전달해야 함을 인지시켜 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부모님이 아이와 대화를 통해서

    말을 할때는 끝까지 듣고 다시 질문하는 방법을 가르쳐 주세요

    그 외에 말을 할 때 지켜야 되는 예의들에 대해서도 알려 주세요

    상대방의 기분을 나쁘게 하거나 본인의 말만 하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성격에 따라서 자기말을 하는것을 좋아하는 친구들이 있고 듣는것을 좋아하는 친구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인간관계에서는 자기말을 많이 하기 보다는 상대방의 말을 많이 들어줄 수 있는 친구로 성장하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아이들에게 상대방의 말을 들을 수 있도록 교육을 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또한 자기가 말을 해야 할때에는 말을 할 줄 아는 아이로 성장하도록 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