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고상한호아친123
고상한호아친12323.05.21

대출도 능력이라고 하고, 대출도 자산이라고 하는데 왜 빚이 자산이 되나요?

안녕하세요.

사람들이 흔하게 말하기를 대출도 능력이라고 하고 대출도 자산이라고 하던데

어떻게 빚이 자산으로 인식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자산을 구성하는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자본과 부채입니다. (A = C + L)

    즉, 내 돈인 자본 외에도 남에게 빌린 돈 (대출) 을 포함해서 자산이 구성됩니다.

    그렇기에 대출도 자산의 일부인 것입니다.

    다만, 순자산에는 부채가 포함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대출도 능력이라 하는 것은 결국 이런 부채를 일으킬 때에 금융기관에선 신청자의 상환 능력을 살펴보기 때문입니다. 능력이 되어야 대출을 승인해주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임병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단순히 말씀드리면

    자산=부채+자기자본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부채 또한 자산에 포함됩니다.

    순자산=자산-부채가 되므로 순자산 또는 자기자본이 본인의 순수 자산으로 볼 수 있습니다.


    대출도 능력이라고 하는 이유는,

    은행대출 해보시면 아시겠지만, 대출을 아무한테나 마구 해주지 않습니다.

    담보능력, 소득, 신용도 등에 따라 대출 규모, 대출여부가 결정되죠.


    따라서, 대출을 받을 수 있다누 것은 담보 가능 재산이 있거나 소득이 충분하다는 이야기므로 본인의 능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자산은 자본과 부채의 합을 말하죠 여기서 자본은 내돈 부채는 남의돈이죠

    신용등급 좋아서 낮은 금리로 대출 받아서 대출금리보다 높은 상품에 투자한다고 생각하시면 간단합니다

    님이 1억을 3프로에 대출받은 빚으로 5프로 확정금리 상품에 1년 투자했다고 하면

    님은 아무런 위험부담없이 1년 2프로 200만원을 벌수 있는구조죠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부채가 무조건 자산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부채가 자산으로써 불리려면 부채가 어떤 성격을 가지고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자산이란 현금흐름을 만들어 내는 재산을 뜻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부채중에서 생산활동을 통해 현금흐름을 만들어내는 부채는 자산이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집을 에로 들겠습니다. 10억하는 집을 5억 대출 5억 내돈으로 산다면

    내 자산은 10억이고 부채(빚)은 5억 자본(진짜내재산)은 5억이 되는 것 입니다.

    따라서 대출도 자산으로 볼 수 있는 것입니다.

    다만 대출을 학자금, 생활비, 의료비 같은 곳에 쓴 경우는 자산이라는 말이 이해가 안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눈에 보이는 자산이 된 것이 아니라 학자금의 경우 내 학벌이 자산으로 된 것이고 생활비는 내가 생활한 기간만큼 내가 버티게 해준 자산, 의료비는 내 건강이 자산이 된 것이라 생각하면 조금 이해가 될 것이라 생각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대출과 같은 경우에는

    신용점수가 낮고 소득이 낮은 경우에는 되지 않으나

    신용점수가 높고 소득이 높으면 대출의 한도도 높아집니다.

    이에 따라서 대출도 능력이며 자산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융기관이 봤을때 능력이 없는 사람이나 기업은 대출을 해주지도 않습니다

    그 유명한 삼성전자도 자산중에 많은 부분이 대출이 있고요

    우리나라도 빚이 많다고는 하지만 빚을 내어 투자를 하는 것은 기본입니다

    미국은 훨씬 많은 빚이 있고 그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빚을 져서 투자하고 성공할수도 실패할수도 있습니다

    우리나라 특히 아파트매매도 마찬가지로 대출받아 구매 후 상승한뒤에 파는 것이

    저축해서 사려는 것과 크게 다르죠 , 대출을 통한 구매가 가장 효과적이라 투자하는 겁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자산의 경우 기본적으로 자기자본 + 부채로 구성됩니다. 아파트를 구매할 때 보통 자기자본과 대출을 받아 아파트를 사는데 제가 가지고 있는 아파트의 경우 나의 자산이 맞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먼저 자산이라는 개념을 살펴본다면 [자본+부채]라는 개념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제일 많이 오해를 하는 부분이 '자본'이라는 개념과 '자산'이라는 개념입니다. 자산이라는 개념은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무형이나 유형의 가치물들을 말하는 것으로서, 예시를 들어서 설명을 드리도록 할게요

    내가 10억원의 아파트를 내 명의로 소유하고 있는데 이 아파트에 투입된 자기자본은 4억원이고 대출은 6억원이라면 10억원의 아파트 가치는 자산에 해당하는 것이고, 4억원은 나의 자본, 그리고 6억원은 부채에 해당하게 되는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이희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빚은 1금융권에서 대출을 받았다고 가정을 하면 빚이 많으면 많을수록 그 사람에 대한 신용도가 높다는 뜻입니다.

    신용도가 높고 자산이 그만한 가치가 있어 대출상환능력이 된다는 거니 은행에서 대출을 해주는 거죠.

    그러니 그 빚은 자산이 되게 됩니다.

    또한 이렇게 생긴 빚은 자산증식의 목적으로 쓰이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대출은 부채(빚)입니다. 은행의 입장에서는 대출은 자산(채권)이 될 수 있지만 분명하게 대출은 빚이며 갚아야 하는 돈입니다. 자산이라고 말하는 뜻에는 대출을 받기 위해서는 개인신용도가 중요한데 신용이 높아야 많는 대출을 받을 수 있고 낮은 이율로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하는 말인듯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업이나 개인의 자본 구성에서 빚은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빚을 이용하여 자본을 조달하면 더 많은 투자나 사업 확장이 가능해지며, 이는 미래에 더 큰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