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아마도완벽그자체인화가
아마도완벽그자체인화가

조화객관환원이론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제목그대로 의식이 양자현상으로 생긴다는 조화객관환원이론에 대해 어떤생각을 하고 계시는지 궁금합니다 과학계에서는 주류는 아니지만 조금식 인정받고 있는 분위기인거 같은데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조화객관환원이론은 미세소관에서 양자중첩 붕괴가 의식을 만든다는 가설로 흥미롭지만 검증이 어려워 주류 신경과학에서는 아직 비판적입니다.

    다만 양자생물학 연구가 확장되면서 일부 요소는 탐구 대상이 되고 있어 전면적 수용보다는 가능성 연구단꼐로 보는 견해가 많답니다.

  • 안녕하세요. 말씀해주신 조화 객관 환원 이론은 로저 펜로즈와 스튜어트 해머로프가 제안한 의식 이론으로, 뇌에서 의식이 단순한 신경 신호 처리의 산물이 아니라 양자역학적 현상, 특히 미세소관 안에서 일어나는 양자 중첩과 그 붕괴에 의해 생긴다고 설명하는 이론입니다. 이는 의식은 단순한 뉴런 네트워크 계산 결과가 아니라, 양자 중첩, 붕괴, 패턴 형성의 과정을 통해 순간순간 발생한다는 해석을 제시하는데요 우선 과학계에서 이 이론은 주류가 아닙니다. 우선 뇌는 따뜻하고 습한 환경이라 양자 상태가 매우 쉽게 붕괴되는데, 수십~수백 밀리초 단위로 안정된 양자 중첩이 유지될 수 있을지 의문이 제기되고 있으며, 기존의 신경과학 연구는 의식을 설명하는 데에 꼭 양자 현상을 필요로 하지 않아도 충분히 설명 가능한 모델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최근 미세소관이 단순한 세포 구조 지지대 역할을 넘어서, 신경세포 내에서 신호 처리와 동기화에 관여할 수 있다는 연구들이 조금씩 나오고 있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조화 객관 환원 이론은 의식이라는 난제를 설명하기 위해 양자역학을 도입한 독창적 가설이지만, 현재 주류 과학계에서는 이론의 핵심 전제가 생물학적 환경에서 성립하기 어렵고 이를 뒷받침하는 경험적 증거가 없다는 이유로 정설로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습니다. 이 이론은 뇌 신경세포 속 미세소관에서 양자적 중첩이 발생하고, 이것이 물리 법칙에 따라 객관적으로 붕괴하면서 의식이 발생한다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양자 중첩과 같은 섬세한 상태는 극도로 통제된 환경에서만 유지될 수 있는데, 뇌처럼 따뜻하고 복잡한 환경에서는 그 상태가 이론이 요구하는 시간만큼 지속되기 전에 즉시 붕괴될 것이라는 반론이 지배적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근본적인 한계로 인해 해당 이론은 현재로서는 철학적, 이론적 논의의 영역에 머물러 있는 비주류적 견해로 평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