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망불안정 문제에 대한 질문 있습니다
코로나19 이후 공급망 불안정하다고 하는데요 그래서 물가가 상승하고 불안정한 거 같기도 한데요 이러한 공급망불안정은 어떻게 나타나고 있을까요
공급만 불안정은 세계적으로 경제활동이 제한되고 국제무역이 감소하면서 발생한 문제입니다. 이에 따라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고 물류 시스템이 마비되엇으며 제품생산과 유통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공급망불안정은 최근 미중패권경쟁으로 인하여 공급망이 재편되어 공급이 부족해지거나 가격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근 공급망의 경우에는 코로나 이후에 많이 회복되어 물류량이 폭증하였습니다. 공급망 불안정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인하여 에너지공급망 및 물류공급망이 불안정화 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공급망의 불안정에 대한 문제가 대부분 중국에서 나오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은 전세계의 공장으로서의 역할을 아직도 수행하고 있고, 우리나라와 근접국가이기 때문에 우리나라는 중국에 대한 무역의존도가 굉장히 높은 편이였습니다.
몇년 전 이슈가 되었던 요소수 사태 또한 그러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중국의 의존도를 낮추고 다른 공급망 다변화 전략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코로나로 인한 공급부족은 생산불가 및 운송불가에 의한 것으로 현재는 대부분 해결되었습니다. 다만, 러우전쟁 중동전쟁으로 인한 원자재 공급제한 이슈가 존재하여 이러한 부분이 인플레이션을 야기하고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코로나19 이후 심화된 공급망 불안정은 원자재 확보 어려움, 생산 중단, 물류 지연 등으로 인해 생산 및 유통 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최종 소비자에게 제품 공급이 지연되고, 가격이 상승하는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고, 코로나19 팬데믹뿐만 아니라, 우크라이나 사태 등 불안정한 정치상황은 에너지 자원, 식량 등 필수품 공급에 영향을 미치고 국제 무역 환경을 불안정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원자재, 부품, 운송 비용 증가는 최종 제품 가격 상승으로 이어져 소비자 물가 상승이 이루어지고, 생산 중단, 물류 지연으로 인해 제품 공급 부족 현상이 발생하며, 이는 소비자들의 구매를 어렵게 하고, 해상 운송 비용 급등, 항만 혼잡, 운송 인력 부족 등으로 인해 물류 비용이 크게 증가하는 현상들이 발생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