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관념에서 동전을 만드는게 이득일까요 집회만 만드는게 이득인지 알려 주세요
안녕하세요 동전을 만드는게 원가가 더 비싸다는 얘기를 들었습니다 그런데 왜 동전을 계속 만드는 건지 모르겠습니다 무슨 고집인지도 모르겠고요 그러면 지폐로 다 바꾸는게 차이가 낫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동전을 만드는게 경제적으로 손해가 맞습니다 이 동전이 과거에 오랫동안 주화폐로 사용한 이유는 지폐는 위조가 쉽고 언제든 정부가 무차별적으로 발행을 하면서 신뢰성이 없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동전을 선호하였던것이고 하물며 금속가치로도 가치가 있었다는점입니다
또한 마모도 적다는점으로 인해 오랫동안 사용을 했지만 이제는 이런 단점이 서서히 해결되면서 지폐가 주화폐로 모든 국가들이 사용하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실제 이 동전의 주조를 급격하게 줄이고있고 향후 미래에는 이 동전을 기념주화가 아닌이상 발행은 안하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예상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동전을 만드는 비용이 실제 동전의 가치보다 높을 수 있지만, 동전은 여전히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는 동전이 현금 거래의 편리성과 안정성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동전은 작은 금액의 거래나 자판기, 버스 요금 등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동전은 지폐보다 더 오래 사용할 수 있어서 장기적으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동전과 지폐를 만드는 것은 각각 장단점이 있습니다.
동전의 장점으로는 소액 거래에 편리하고, 내구성이 높아 오래 사용할 수 있으며, 위조가 어렵다는 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단점으로는 제조 비용이 많이 들고, 보관과 운반이 불편하며, 거스름돈으로 사용할 때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이 있습니다.
반면 지폐의 장점은 제조 비용이 적게 들고, 보관과 운반이 편리하며, 거스름돈으로 사용하기에 편리하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지폐는 내구성이 낮아 손상되기 쉽고, 위조가 상대적으로 쉽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경제적 측면에서 동전을 만드는 것이 항상 이득이라고 할 수는 없으며, 동전의 제조 비용과 사용 편의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수준에서 동전을 발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