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빼어난양241
빼어난양24123.12.15

건설선행지표가 안좋아지고 있는데 내년도 건설시장은 어떤흐름을 보일까요?

최근 건설성행지표가 악화되었다고 하던데요.

올해 하반기만봐도 수주나 허가 착공이 크게 급감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내년도 건설시장은 어떤흐름을 보이게 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이 발간한 '2024년 건설경기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내년 건설투자 규모는 올해 대비 2.4% 감소한 257조원을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이는, 지난해 이후부터 악화하기 시작한 건설 선행지표들의 시차 효과로 인해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반영될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건설 선행지표가 좋지 않은 것은 고금리로 인해서 분양시장이 급격히 위축되었기 때문이며 추가적으로 공사원가가 급격히 상승했기 때문이에요. 다만 내년 중순이후부터는 금리인하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보니 내년 하반기부터는 건설경기가 조금씩은 회복될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내년도 건설시장은 전체적으로 안좋지만 옥석가리기가 진행되어 부실화된 건설사는 폐업을 피하기 힘들어 보입니다.

    • pf대출 이슈로 부실화 된 사업장을 정리한다는 발표가 있었던 만큼 건실한 건설사는 약간의 침체지만 기반이 약한 곳은

      부도가 날 수도 있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건설경기가 내년 상반기부터 본격적인 침체기에 들어갈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대구를 비롯하여 미분양도 너무 많기 때무에 좋지 않은 흐름이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미국금리가 예상처럼 내년에 내려도 한국도 내릴 수 있을지, 그리고 내려도 바로 즉각적인 반응은 오지 어렵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내년 상반기와 같은 경우에도

    건설경기는 좋지 않을 가능성이 높을 것 같습니다.

    아직도 금리가 높은 수준이기때문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