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좋은지식을추구하는침팬치
좋은지식을추구하는침팬치23.10.29

금리가 오르게 되면 경제가 더 안 좋아지는 건가요?

제가 경제에 관해서는 아직 잘 모르는데요 그런데 요즘 보면 금리가 계속 오르는 거 같은데 혹시 금리가 오르게 되면 경제가 더 안 좋아지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재오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가 오른다고 경제가 안좋아진다고 단정하기는 어렵습니다. 현재 상황은 지속된 물가상승에 이를 잡고자 금리인상으로 시장의 유동성을 회수하는 것에 목적을 둔 인상입니다.

    그러나 경제가 엄청나게 성장하는 국가나 시기는 다릅니다. 금리가 오르더라도 해당 금리를 소화할 수 있을만큼 경제가 성장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예시로 80,90년대 고도성장기의 한국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금리가 오르게 되면 수요와 투자가 줄어들어 경제상황이 어려워지긴 합니다.

    • 하지만 금리를 올릴 수 있는 경제 여건이 만들어졌다는 것은 현재 경제가 그 금리를 버틸만큼 탄탄하다는

      반증이기도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최근의 금리의 인상은 물가상승을 억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것이 가장 큰 이유인데, 이에 따라 기업의 투자는 감소하고 주식 등의 상대적 가치 하락으로 인한 자산가격하락으로 인해 경제불황이 올 수 있다는 우려 또한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다만, 경제에 관한 정책결정은 장점만이 존재할 수는 없으며 더 어려운 부분을 타개하기 위한 수단인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학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가 오르는 이유는 시중에 유동성이 너무 좋아 물가가 계속 오르기 때문에 금리를 올려서 시중에 있는 돈을 회수하려는 목적입니다. 금리가 오르면 돈이 많지 않다보니 경제에 영향을 줍니다. 그래서 적정한 통화가 유통되도록 한국은행에서 조절을 해야하는데 너무 많으면 물가가 상승하고 너무 적으면 경제가 박살나서 적정수준을 유지하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보통 금리가 더 오른다면 현재의 상황에서

    경기가 더욱 악화된다고 보는 것이 맞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가 오르면 기업의 자본조달비용이 커져 고용과 투자가 줄고, 가계부채 이자가 증가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가 오르면 경제가 안좋다기 보다 수출경제와 내수경제중 내수경제가 나빠진다는 거죠


  • 안녕하세요. 이경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닙니다.


    금리가 오르는 것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 금리가 오르는 경제환경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합니다. 금리 인상은 통상 물가가 오르고 부동산, 증시 등 실물경기가 과열되었을때 경기조절 수단으로 사용되는 금융정책입니다.


    금리가 올라 가계나 기업에 부담이 되도 이보다 경기가 더 좋다면 경제는 더 좋은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경기도 좋지않은데 금리를 올려야 되는 경우도 있으니 그럴 경우가 문제입니다. 급격한 인플레이션과 경기하강이 동시에 나타날 경우에 인플레이션을 집기위해 금리를 올리는 경우로 경제에 충격적인 금리 인상이 되고 경기를 보다 하락시킬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가 상승하게 되는 경우에는 시장의 화폐 유동성이 감소하게 되고 이로 인해서 소비의 침체와 함께 경기침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