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비둘기
비둘기23.07.13

중세시대에 마녀사냥이 벌어진 배경은 무엇인가요?

지금 생각하면 어이없는 일이지만 중세시대에

마녀사냥이라는 미명하에 마녀로 지목이된 사람을

산채로 불에 태워죽이는 만행을 사람들이 저지르곤했습니다.

우리가 잘아는 잔다르크도 지금은 전쟁의 영웅으로 기억되지만 그당시에는 마녀사냥의 희생자들중1명일뿐이었습니다.


질문드립니다.

중세시대에 마녀사냥이 벌어진 배경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7.13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마녀사냥은 15세기 초부터 산발적으로 시작되어 16세기 말~17세기가 전성기였다. 당시 유럽 사회는 악마적 마법의 존재, 곧 마법의 집회와 밀교가 존재한다고 믿고 있었다. 초기에는 희생자의 수도 적었고, 종교 재판소가 마녀사냥을 전담하였지만 세속 법정이 마녀사냥을 주관하게 되면서 광기에 휩싸이게 되었다.


    이교도를 박해하기 위한 수단이었던 종교 재판은 악마의 주장을 따르고 다른 사람과 사회를 파괴한다는 마법사와 마녀를 처단하기 위한 지배수단으로 바뀌게 되었다. 17세기 말 마녀사냥의 중심지였던 북프랑스 지방에서는 3백여 명이 기소되어 절반 정도가 처형되었다. 마녀사냥은 극적이고 교훈적인 효과 덕분에 금방 번졌고, 사람들의 마음을 현혹시켰다.


    1582년 바이에른 어느 백작의 한 작은 영지에서 한 명의 마녀가 체포되었다. 이 마녀의 체포에 연속으로 48명이 마녀로 낙인찍혀 화형당하였다. 1587년 도릴 지방의 약 200여 촌락에서 1587년부터 이후 7년간 368명의 마녀가 적발되어 화형당하였다. 1590년 남독일의 소도시 네르도링켄에서 시장의 제안에 의하여 시의회는 거리를 나돌아다니는 마녀를 철저히 일소하도록 결의하였다. 이후 3년간 32명의 마녀가 화형 또는 참수되었다.


    1590년 소도시 에링켄에서 65명의 마녀가 처형되었고, 1597~1676년에 197명의 마녀가 화형당하였다. 소소크만텔 승정령(僧正領)에서는 1639년에 2,428명, 1654년에는 102명이 처형되었다. 오늘날 오스트리아 영토가 된 스타이엘마르크 지방에서 1564~1748년에 1,849명이 소추되어 1,160명이 사형에 처해졌다. 나노수 지방에서는 1629년부터 4년간 2,255명이 마녀로 소추되었고, 뷔르튄겐 지방에서는 1633년 이후 3년간 11명이 처형되었다.

    튜링겐 숲에 인접한 게오르겐탈이라는 인구 4천 명에 불과한 작은 도시에서 1652~1700년에 64회의 마녀재판이 실시되었다. 반베르크 승정령에서는 1627년 이후 4년간 화형당한 마녀가 285명이었고, 그 이후 30년에 걸쳐 이 재판소에 계류된 마녀재판은 900건을 넘었다. 이 승정령의 인구는 겨우 10만 명을 넘지 않았다.


    뷰르스부르크 승정령에서는 1623~1631년에 화형당한 마녀가 900명에 달하였다. 1627년부터 이후 연간 29회의 재판에서 화형당한 157명의 희생자를 보면 잡다한 연령과 계급, 직업의 사람들이 혼재해 있었다. 시의회 의원, 고급 관리의 부인, 시의회 의원의 처자, 그 지방의 가장 아름다운 자매, 8, 9, 12세의 아이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후루다에 살고 있는 바루다세르 후스라는 마녀 재판관은 19년간 700명의 마녀를 화형시켰는데, 자신의 일생동안 1천 명을 처형하기를 소원하였다고 한다. 로트링겐에 살고 있던 니콜라스 레미라는 사람도 재직 15년간 화형시킨 마녀가 900명에 달한다고 하였다.

    마녀사냥의 물결은 15세기 이후 이교도의 침입과 종교개혁으로 분열되었던 종교적 상황에서 비롯된 것이다. 마법과 마녀는 그 시대가 겪었던 종교적 번민에서 탈출하는 비상구였던 동시에 자신의 권력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었다. 이러한 종교적 배경과 함께 마녀사냥이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마녀사냥은 개인적·집단적으로 농촌 사회가 분열되고 개인들의 관계가 파국에 이르렀을 때 나타나곤 하였다. 종교 전쟁, 30년 전쟁, 악화되는 경제 상황, 기근, 페스트와 가축들의 전염병이 당대 농촌 사회를 휩쓸었던 불행이다. 사람들은 연속된 불행에 대한 납득할 만한 설명을 찾아냈고, 마침내 불순한 사람들인 마법사와 마녀의 불길한 행동에서 찾아냈다.


    공동체의 희생양으로 지목된 사람들에 대해 심판관은 개인간의 분쟁을 악마적 마법의 결과로 해석하고 자백을 이끌어냈다. 자백하지 않는 자에게는 공포심을 자극하는 심문과 혹독한 고문이 가해졌다.

    당시에는 이탈리아 법학과 캐논법을 통하여 유럽 여러 나라가 이른바 규문주의(糾問主義) 소송 절차를 채택하고 있었다. 이 소송 절차에는 고문이 합법화되어 있었다. 마녀는 바로 이 고문의 소산이었으며 이것을 정당화시키는 규문주의 소송절차의 당연한 결과였다. 고문은 거의 모든 마녀재판의 필수적인 하나의 요소로 등장한다.


    그리스도교가 절대적인 권력을 가지고 있을 당시에는 신에 대한 반역이나 모독은 그 어떠한 범죄보다 중죄였다. 처음에는 마법의 유형에 따라 달리 취급하였지만 나중에는 마녀라는 것 자체만으로 화형·참수·교수 등의 엄벌을 받았다. 독일·영국·프랑스·스위스·핀란드·에스파냐 등지에서 일어난 마녀재판을 1만 건 이상 분석한 로버트 무쳄블래드의 통계자료에 따르면 마녀로 기소된 사람 가운데 거의 반이 처형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수세기에 걸쳐 광란을 연출하였던 마녀재판도 18세기에 들어서면서 점차 그 모습을 감추기 시작하였다. 르네상스의 진전과 더불어 이성적 세계관과 과학 정신의 대두는 불가피한 시대정신이 되었고 이것은 신학에 기반한 과학의 해방을 의미하였다. 이로써 불합리의 극치인 마녀재판도 존립의 근거를 잃게 되었다.

    18세기를 지나면서 마녀의 고문과 그에 따른 화형도 사라졌다. 독일의 경우 1749년 뷰루소부르크에서 1건, 1751년 아인팅겐에서 1건, 1775년 겜텐에서 1건의 마녀재판이 기록되었고, 7년 뒤인 1782년 스위스의 게랄스라는 지방에서 아인나 겔티라는 여성이 고문 끝에 참수형에 처해진 것을 끝으로 마녀재판은 유럽 대륙에서 자취를 감추었다.


    이처럼 악마와 마법 그리고 마녀가 공동체를 파괴한다는 신념은 지배 계급과 당시의 지식인인 신부와 법관들이 만들어낸 문화적 산물이었다. 마녀사냥의 주된 공격 대상은 과부, 즉 여성이었다. 신학적 관점에서 볼 때, 여성이란 원죄로 각인되어 있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여성은 악마의 심부름꾼이라는 생각이 사람들에게 있었고, 여성의 육체 자체가 두려움을 자아낸 것이다.


    마녀사냥이 그리스도교 이외의 어떤 사상과 움직임도 용납할 수 없었던 당시 사회에서 대다수 민중들의 체제에 대한 불만과 저항을 마녀라는 이름의 희생양을 통해 대리해소하는 동시에 마녀를 따돌린 '우리 사회'는 안전하다는 만족감과 감사함을 느끼게 하는 하나의 사회적 배제·통합 기제로 사용되었던 것이다

    출처 : 두산백과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기독교가 유럽의 한 축으로 지지받던 시절, 종교의 이름으로 학살된 많은 사람들 (특히, 여성)을 마녀사냥이라고 부르며, 그 배경으로는 타지성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종교성과, 균일한 기독교 공동체를 만들고자 하는 목적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한편으로는 가뭄과 흑사병과 같은 기후위기, 전염병의 집단적 위기가 발생하자 이러한 불행 속에서 이유를 찾고자 하는 사람들이 늘어났고, 원망의 대상이 필요했던 사회적 분위기에 동요되어 일방적인 희생이 있었을 것으로 보아지기도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노인옥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세시대에 마녀사냥은 종교적으로는 기독교가 유럽 전역에 확산되면서 이단과 마법에 대한 탄압이 강화되면서 퍼지게 되었습니다. 또한 국가와 교회의 권력 투쟁이 격화되면서 마녀사냥을 수단으로 사용하였는데 프랑스에서는 왕권과 교회의 대립이 심화되면서 왕권을 비판하는 자들을 마녀로 몰아내려고 하였습니다.

    특히 여성은 남성 중심의 사회에서 성적 유혹과 악마의 동맹자로 비난받았는데 이러한 여성, 소수자, 이방인 등이 사회에서 차별받고 배척당하는 사람들이 주로 마녀사냥의 피해자였다고 합니다.

    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당시 유럽의 상황적인 측면 있습니다. 지금처럼 과학이 발달하지 않은 상태에서 흑사병이나 실략이 부족해서 많은 사람들이 죽고, 계급에 의한 빈부격차도 심했습니다. 그래서 본인 불만을 해소할 상대가 필요한데, 마녀가 정해지면 공식적으로 스트레스 해소가 가능했을 것입니다.

    종교에서도 악마, 마녀 이런걸 안좋게 묘사했고, 이런 것들이 더 실제할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에 신앙심이 깊은 사람들은 더욱더 마녀사냥에 진심이었을 겁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이런점을 이용해서 권력자들이 희생양을 적으로 돌리면서 본인들의 권력을 유지하는데 썼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세 유럽인들은 급격한 사회변동과 위기에 직면했을 때에 그들의 불안 해소와 기존 질서 유지를 위해 사회적 약자들을 마녀로 몰아서 희생시켰다. 그 결과 15세기에서 18세기에 이르는 동안 유럽에서는 악마와 결탁하여 마법을 행했다는 누명을 덮어씌우는 마녀사냥을 통해 수십만 명이 처참하게 살육당했다. 마녀사냥에 대한 연구는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 지배 계층과 피지배 계층의 갈등, 자본주의 발흥 및 근대 국가의 탄생과 권력투쟁, 여성에 대한 혐오 등을 마녀사냥 발생의 원인으로서 제시하였다. 그러나 마녀사냥은 다양한 원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는 것이 타당한데, 특히 유럽에 만연했던 흑사병, 인구증가와 경제위기, 종교개혁과종교전쟁 등의 발생으로 인한 사회적 혼란감과 위기의식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마녀재판을 통하여 사회적 약자들을 마녀로서 희생양으로 삼게 한것이기 때문이다. 그 과정에서 기독교는 구교와 신교 모두 신의 섭리와 악마의 마술을구분하는 이분법적 도식으로 마녀재판을 부추겼고, 여성의 존재적 열등함과 부정함을 강조하는 한편, 인류 타락의 원인 제공자로서 여성을 폄하하며 사회적 약자 중에서 여성들을 겨냥하여 마녀사냥을 주도하였다. 그러한 마녀사냥의 본질에는 교회를 중심으로 하는 지도층의 여성에 대한 편견 및 사회적 약자의 대표 격인 여성에게 혼란과 불안의 원인을 투사한 인간의죄성(罪性)이 자리잡고 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세기에 들면서 기독교 사회권은 악마가 인간이나 동물 등을 이용해 악한 행위를 한다는 믿음이 생겼고, 이러한 생각은 기독교 이전부터 민족신앙에 대한 불신감이나 십자군 병사들에 의해 동방에서 가지고 온 사상 및 문화 등이 융합하여 생겨나게 된 것으로 추정합니다.

    고대 이래 악마가 인간에게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생각이 뿌리 깊게 박혀 있어 사람들은 그것을 근절하려 해썼고 그 방법 가운데 하나로 악마의 하수인으로 여겨진 인간에 대한 규탄이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