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정책 이미지
경제정책경제
경제정책 이미지
경제정책경제
우리모두 부자되는순간까지열심히
우리모두 부자되는순간까지열심히22.09.01

우리나라 기업들 분류 방법이 궁금해요?

우니 나라에는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 개인 소상공인등으로 구분 하는데 그 기준이 궁금합니다.

매출이나 아니면 근로자 수 등 어떤 기준이지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기업의 분류는 업종별, 매출별, 자산별등에 의해서 기준이 정해져서 분류하게 됩니다.

    1.소기업 분류기준

    2.중소기업 분류기준

    3.중견기업의 분류는

    • 중소기업법 제2조에 따른 중소기업이 아닐것

    • 공공기관 운영에 관한 법률 제4조에 따른 공공기관, 지방공기업법에 따른 지방공기업 등 대통령령 정하는 기관이 아닐 것

    • 그 밖에 지분소유나 출자관계 등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적합한 기업

    중견기업은 매출액 기준으로는 3년평균 매출액 1500억원 이상의 매출이나 자산총액 5,000억원 이상, 자기자본 1,000억원 이상, 상시근로자수 1,000명이상 4가지 중 1가지라도 해당되면 바로 중견기업으로 지정되게 됩니다.

    4.대기업의 분류는

    • 공정거래위원회에서 정한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 금융보험업의 경우 중소기업 기준 초과하면 대기업에 해당

    이렇게 분류하셔서 생각하시면 될 것 같아요

    좋은하루되세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소기업은 업종별로 10억~120억 원 이하이며, 중기업은 120억~1500억 이하이고, 우리나라 기업의 99%의 비중을 차지합니다.

    중견기업 기준은 상시 근로자 수가 1,000명 이상이거나 자산총액이 5,000억 원 이상, 자기자본 1,000억 원 이상, 직전 3개 사업연도 평균 매출 1,500억 원 이상 중 하나의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대기업 기준은 매출액 10조 원 이상의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인데요. 이전에는 매출액이 5조 원 이상이었지만 최근 상향되어 10조 원을 기준으로 대기업을 분류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대기업을 분류하는기준은 매출액 규모 5조 원 이상 상호출자제한기업진단을 말합니다.

    - 중견기업은 자산총액 5천억~5조 원이며 중소기업기본법상 중소기업의 범위를 벗어나고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에 소속되지 않는 기업을 말합니다.

    - 중소기업은 자산총액 5,000억 원 미만에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이 아닌 기업을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대기업과 중소기업등은 가장 큰 분류는 매출입니다.매출에 따라서 직원수도 다르기떄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국내 기업을 분류할 때 기준은 자산입니다.

    대기업 - 기업 또는 기업집단의 자산이 10조원 이상

    중견기업 - 5천억 이상 10조원 이하 / 3년평균매출 400억 ~ 1500억이상이면서 자산 5천억 이상

    중소기업 - 평균매츨액 400 ~ 1500억원 이하 자산 5천억 미만

    으로 구분하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래와 같이 자산 규모 기분으로 기업을 중소기업부터 대기업까지 분류합니다. 다른 분류 기준도 있으나 아래 기준 정도 알고 계시면 왠만한 기업들이 어디에 속하는지 아실 수 있습니다.

    이상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