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놀이

언제나주목받는기술자
언제나주목받는기술자

아이들에게 논다는것은 어떤 의미일까요?

단순하게 공부를 하지 않는 순간. 아무것도 하지 않는 순간. 좋아하는걸 하는 시간. 어떤 과정중에서 아이들은 논다. 놀았다. 라고 인지 할 수 있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들에게 논다 라는 것은

    아이들에게 즐거운 시간을 보낸다 라는 의미가 큽니다.

    또한, 아이들이 노는 시간은 아이들의 심리적 +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날려주는 창고 역할과 같기에

    아이들의 노는 시간은 주는 부분이 필요로 합니다.

    그리고, 놀이를 통해 아이의 창의.상상력이 발달 되어질 수 있음과 사회성과 심리적.정서적 안정감을 가질. 수 있는

    영향도 크게 얻을 수 있습니다.

  • 아이들에게 논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아이들은 단순히 공부를 하지 않는 시간이나 아무것도 하지 않는 순간을 ‘논다’라고 인식하기보다는, 자신이 즐겁고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을 때 ‘놀았다’고 느낍니다. 좋아하는 놀이, 친구와의 상호작용, 상상놀이, 게임, 그림 그리기 등 자율성과 즐거움이 있는 활동이 아이에게는 ‘놀이’로 인식됩니다. 따라서 쉬는 시간이라도 아이가 스스로 선택하고 몰입할 수 있는 활동이 포함되어야 ‘놀았다’는 만족감을 느낄 수 있어요. 놀이의 핵심은 결과보다 과정에서의 즐거움이며, 아이가 주도권을 갖고 감정을 표현할 수 있을 때 진정한 놀이로 받아들입니다.
    만약 영유아기의 아이들이라면 놀이는 일상생활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이들에게 논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지 궁금해 하시는 것 같아요~

    단순하게 공부를 하지 않는 순간? 아무것도 하지 않는 순간? 좋아하는걸 하는 시간?

    교사가 원하는 방향과 목적을 가지고 수업을 진행했을때 아이들은 즐겁게 활동을 해도 놀았다고 표현하지 않을 거예요.

    아이들이 주도해서 자유분방하게 놀이를 하고 있을때 논다고 표현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내가 원하는 놀이(활동)을 주체적으로 이끌었을 때 논다고 표현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예를 들면, 야외에서는 놀이터에서 논다거나 모래놀이를 하거나 축구를 하거나 술래잡기를 하거나 했을 때 등입니다.

    우리도 옛 적을 생각하면 공기놀이, 허수아비놀이, 정글짐 놀이 등 친구들과 주도하에 놀이 했던 기억이 재미있게 논 기억으로 자리잡혀있듯이 말이예요^^ 즐거운 놀이 시간을 통해 아이들의 사고력과 자아존중감 자기조절능력 사회성 등이 잘 자라고 있을 거예요^^오늘도 화이팅 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호성 보육교사입니다.

    아이에게 논다는것은 친구와 함께 어떠한 행동을 재미있게 하는거라고 이야기 하더라구요. 저도 그말을 아이한테 듣고 깜짝 놀랬는데 아마 아이도 논다는 의미를 알고 있는것 같아요

  • 안녕하세요.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들은 노는 중 이라는 걸 의식적으로 구분하지 않습니다.

    흥미, 호기심, 몰입이 있는 순간 즐겁게 탐색하고 상상하는 시간 자체를 놀이로 인식합니다.

    따라서 공부나 쉼, 놀이의 경계보다는 즐거움과 자발성이 있을 때 아이는 스스로 놀았다고 느낍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들에게 노는 것은 단순히 쉬는 시간이 아니라 자기 주도적 경험과 탐색을 의미합니다. 장난감 놀이, 자연 관찰, 친구와의 상호작용 등에서 스스로 선택하고 시도하며 즐기는 순간을 아이들은 논다고 인지합니다. 즉, 놀이 속에서 호기심, 상상력, 문제 해결력, 사회성을 발달시키고, 경험을 통해 배우는 과정을 포함하기 때문에 공부하지 않는 시간도 의미있는 활동이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이들에게 논다는 것은 단순히 공부를 안 하는 게 아니라 자신이 주도권을 갖고 즐거움을 느끼는 시간입니다.

    상상하거나 친구들과 어울리고, 무언가를 만들거나 움직이는 모든 과정 속에서 아이들이 놀이로 인식합니다.

    결과보다 과정 속의 자유와 재미가 논다는 감각을 만들어 줍니다.

    그래서 아이에게 놀이는 쉼이자 배움의 다른 형태로서 이해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