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머쓱한바위새27
머쓱한바위새2722.12.16

이번 FOMC 발표 후 한국 금리 전망이 궁금합니다.

이번에 0.5% 올리기로 결정했고, 내년 목표가 5.1까지라고 하던데 한국 금리가 과연 이 기준보다 높게 올라갈 수 있을까요? 현재 가계부채가 폭탄처럼 불어난 상태인데 금리로 인해 IMF 오지 않을까 걱정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허정우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한국 금리는 미국 기준금리보다는 낮게 형성될것으로 예측됩니다. 다만 이에따라 환율이 높게 형성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IMF까진 아니더라도 집값하락은 당분간 피할수없을것 같네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16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은 미국과의 기준금리 차이를 1%로 유지하겠다고 선언하였습니다. 현재 한국 기준금리는 3.25%이고 미국은 4.5%이므로 내년 기준금리는 미국 기준금리를 따라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5.1보다 높이기는 어렵습니다.

    한계기업이란 영업활동으로 이자 비용을 감당하지 못해 재무적 곤경 상태가 지속돼 3년 연속 이자보상배율(영업이익/이자 비용)이 1 미만인 기업을 말하는데, 쉽게 말해서 번 돈으로 이자도 내기 어려운 기업을 말합니다.

    이미 숨이 턱까지 막힌 상황에서 금리가 오르면 일을 해서 돈을 벌어도 적자가 나는 기업이라 좀비기업이라고도 불립니다.

    일을 계속하는 것보다 도산하는 것이 더 낫기 때문입니다.

    이런 기업들이 기준금리가 3%를 넘어가면 버티지 못할 것이라는 통계들이 나오고 있는데 미국을 따라 5%를 간다면...?

    아마 IMF이상으로 길거리에 실업자가 넘쳐날 것입니다.

    거기에 IMF시절과는 다르게 가계 부채마저도 역대급인 상황입니다.

    IMF는 기업만의 문제였다면, 이제 금리 인상을 더 하게되면 개인들에게서도 심각한 영향이 있다는 것입니다.

    당장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이자를 내지 못해 경매로 넘어가거나,

    분양 계약 후 중도금을 내지 못해 집이 팔리지 않거나 미분양이 나서 팔리지 않아 건설사가 무너질 수 있습니다.

    즉, 미국이 5%를 예상하더라도 우리는 그 이상 가기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미국과의 기준금리 차이가 벌어졌고 이에 따라서

    우리나라도 내년 상반기에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보이며

    IMF와 같은 금융위기의 가능성은 낮다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의 경우 미국만큼 빠른 속도로 말씀하신 5%대까지 금리를 올리기에는 여러모로 부담이 큽니다. 환율 안정화 등을 위해서 어느 정도 미국 금리 인상의 보조를 맞출 필요는 있으나 미국처럼 높은 기준 금리를 부담하기에는 경제 구조가 취약하고 부동산 중심의 가계부채가 심각하여 자칫 금융위기로 번질 수 있어 매우 조심스럽게 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현재 한미 기준금리 차이가 1.5%까지 벌어진 상태라 다음달 금통위에서 0.25% 정도 인상이 유력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테스티아입니다.

    * 한국은 절대로 기준 금리를 5% 대로 못 올리며(* 이렇게 올리면 경제가 매우 어려워진다는 것을 알기에) 국가 채무, 가계 채무가 과도한 수준이라서 어느정도 완화 눈치를 보는 통화정책 기조를 이어나갈 개연성이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