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밝은큰고니27
밝은큰고니27

팔만대장경의 60퍼센트가 산벚나무로 만들었다는데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고려시대 몽골의 침략을 이겨 내기 위해 부처님의 힘을 빌리려고 제작했던 팔만대장경은 그 목재의 60퍼센트가 산벚나무로 만들었다는데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팔만대장경을 만들 당시 산벚나무는 전국적으로 널리 분포하고 있어 구하기 쉬웠습니다. 그리고 산벚나무는 재질이 부드럽고 연하여 가공하기 쉬우며, 경판을 만들기에 적합한 크기와 두께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산벚나무는 세포의 크기가 일정하고 배열이 고르며, 물관이 나이테에 골고루 퍼져 있어 수분 함유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경판이 수백 년이 지나도 썩지 않고 보존될 수 있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팔만대장경의 원목으로 산벚나무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그외 돌배나무, 층층나무, 거제수나무, 후박나무, 고로쇠나무, 단풍나무, 박달나무, 자작 나무 등을 사용했습니다.

      그 가운데 산벚나무가 다른 나무에 비해 뒤틀림과 갈라짐이 적어 경전을 오래동안 보관하기에 적합하였습니다. 그리고 산벚나무의 조직이 지칠하면서도 너무 단단하지 않아 목판에 이용하기 적합하다고 합니다. 게다가 산벚나무가 계곡이나 나지막한 언덕배기에서 자라는 특성으로 몽골군의 침입 때 산에서 베어 강으로 운반하기 유리하였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산벚나무는 다른 나무에 비해 뒤틀림과 갈라짐이 적기 때문에 경전을 오래도록 보관하기에 적합했습니다. 또한, 산벚나무는 자라는 속도가 빠르고 단단하며 고귀한 목재로 인정받아 오래 전통적으로 가구나 목제품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그리고 글씨를 쓰기에도 매끄러운 특성을 가지고 있어 경전을 새기기에도 좋았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단순히 산벚나무가 흔했기 때문입니다.

      벚나무 목재는 조직이 치밀하고 단단하면서도 탄력이 있어 악기, 건축 내장재, 가구재로, 국궁등

      다양한 방식으로 쓰여져서 익숙한 재료이기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