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착실한꿀벌132
착실한꿀벌132

사춘기 큰아들의 상담문의 드립니다

지금 중학교 3학년 재학중인 아들의 얘기입니다

초등학교 5학년때쯤 사춘기가 시작 되어서

지금4년되어가네요 짜증도 많이내고 화도 많이 내는데 자신도 왜 이런지 힘들답니다

경험당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사춘기가 왔다면 아이가 좋아하는것들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는것이 좋습니다

      자기에 관심사에 대해서 누군가 이야기 해준다면 흥미를 가지고 조금더 가깝게 다가갈수있을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사춘기가 있다고 하면

      오히려 더 대화를 많이 시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대화는 잔소리나 혼자 말하시는 것이 아니고

      아이의 말을 많이 들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와 진지한 대화를 나눠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그시기에는 엄마 아빠의 말이 잔소리로 들리기때문에 말하는 대화법이아닌 듣는 대화법을 통해 아이의 고민 고충 하고싶은것등등을 청취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한창 급격한 호르몬변화로 감정의 기복이 심할때입니다 생각도많아지고 자아도 성찰해가는 시기이기 때문에 왜이러는거지? 라는 생각이 많이 들때입니다

      혼란스러운것이죠 마음에대한 공감을 해주세요 그런한마디가 큰 힘이 될겁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새 자아정체성을 형성하는 시기의 진통으로 자연스런 일입니다. 오히려 학업에 집중해야 하는 고2나 고3때 늦은 사춘기가 오는 것보다 훨씬 좋습니다. 아이가 어른이 되어가는 준비를 내적으로 하고 있다 받아들이시고, 그러려니 기다려준다면 아이는 진통의 시간을 마치고 새로이 성장할 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양해욱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사춘기로 힘든 시간을 보내고 계시는군요. 아이가 자신이 왜그런지 모른다고 이야기를 했다면 사춘기의 끝무렵에 다달았다고 보입니다.

      사춘기가 한참 진행중일 때는 본인의 진심을 전혀 표현하지 않으니까요.

      최대한 혼자있게 놓아두는게 제일 빨리 사춘기가 지나가는 상책입니다.

      아이 본인도 자신의 행동이 올바르지 않다는것을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스스로 제어가 안되는시기입니다. 그냥 지금은 부모님께서 아이에게 큰일이 안나도록 수문장 역할만 하시면 됩니다.화이팅하세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린 아이로 생각했던 아들의 갑자기 변한 모습에 많이 당혹스럽죠

      사사건건 부대껴야 하기 때문에 부모님들께선 많이 힘드실거에요

      사춘기는 기다리는 시간이 약인 것 같아요

      본인들도 자신이 왜 이러는지 몰라요

      비로소 고등학생이 되면 자신의 사춘기 때의 모습이 완전 흑역사라고 창피해 하기도 한답니다

      믿어주고 많이 내려 놓는 수 밖에 없는 것 같아요

      잔소리는 짧게 타이르듯이 하고 사소한 일에도 칭찬해주고

      그렇다고 포기하듯 하면 안돼고 꾸준히 관심 갖고 일상적인 이야기도

      많이 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사춘기가 오면은 아이들이 말문을 닫아 버립니다.

      부모와의 대화시 충돌만 일어나지요.

      본인도 왜 그런지 모른다고 합니다.

      아이를 믿고 기다리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와 많은 대화를 나눠주시고

      화가 나고 짜증나는 일이 있더라도 조금은 참는 법을 가르쳐주세요.

      사춘기라 예민한 것은 이해하겠지만 다른 사람들도 배려해달라 이런

      방향으로 교육하신다보면 아이도 공감을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