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조그만느시220
조그만느시220

LCL 수입 화물 창고료 계산 어떻게 하나요?

LCL 수입 화물 창고료 계산 어떻게 하나요?

아직 한국에 화물이 도착 하지도 않았는데 창고료 예상비용을 알려달라고 해서

창고료 계산 방법에 대해 검색해봤는데 너무 복잡한거 같아요.

LCL 수입 화물 창고료 계산 방법 쉽게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분야 지식답변자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보세창고료는 실제 반출시까지의 창고료를 산정하기 때문에 수입통관시에는 예상 창고료만을 계산할 수 있을 뿐 정확한 창고료는 실제 반출시 금액산정이 가능합니다.

      또한 보세창고비는 어떠한 항구에 있는지에 따라 다르고 그 항구 내의 창고회사마다 요율이 다르기 때문에 확실히 안내드릴 수 없는 점 양해바랍니다.

      일반적으로 창고료를 포함하여 금액정산절차를 도와주는 포워더나 관세사 등은 자신들만의 계산방법으로 예상 창고료를 계산합니다. 또한 포워더.kr의 게시글에 따르면 보세창고비 계산에 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고 합니다.

      보세창고비는 크게 보관료와 작업료로 나눔.

      * 보세창고비 계산에 필요한 정보
      1.    과세가격(물품가격+ 해상 운임 or 항공운임) 
      2.    관세율 (대부분의 아이템은 8%~12%) 
      3.    물품의 부피 (단위CBM: 가로1미터, 세로1미터, 높이1미터) 
      4.    물품의 중량 (단위 TON) 
      5.    창고 회사의 종가 기본요율 & 할증요율 
      6.    창고 회사의 종량 기본요율 & 할증요율 

       * 계산 방법 
      1. 종가율은 감정가격에 관세를 더한 금액에 보관료율을 곱하여 계산. 
      2. 종량율은 항공화물은 ㎏당, 선박화물은M/T당으로 계산하여, 중량톤 또는 용적톤 중 큰 것을 적용하여 곱하여 계산. 
      (1CBM= 1TON 으로 간주하여 부피와 중량 중 큰 것으로 적용) 
      3. 보관료계산시 적용요율은 해당화물의 보관일수에 해당하는 요율을 전기간에 대하여 적용. 
      4. 보관료는 보관일수에 따른 기본료와 할증료를 합산. 

      *추가 설명 
      보관료= 종가요금 + 종량요금 + 부대요금(상.하차료)   
      종가요금(종가율)= [과세가격 + 관세] X [기본료율 + (할증료율 X 보관일수)] 
      종량요금(종량율)= [중량 (KG)]    X [기본료율 + (할증료율 X 보관일수)] 
      종가율은 감정가격에 관세를 더한 금액에 보관요율을 곱하여 계산        
      종량율 경우 해상화물은 kg당 또는 CMB당으로 한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분야 지식답변자 지창규 관세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보세창고비는 창고회사마다 요율이 다르기 때문에 요율을 알아야 정확한 계산 가능합니다.
      보세창고비는 크게 보관료와 작업료로 나눕니다.

      * 보세창고비 계산에 필요한 정보
      1.    과세가격(물품가격+ 해상 운임 or 항공운임) 
      2.    관세율 (대부분의 아이템은 8%~12%) 
      3.    물품의 부피 (단위CBM: 가로1미터, 세로1미터, 높이1미터) 
      4.    물품의 중량 (단위 TON) 
      5.    창고 회사의 종가 기본요율 & 할증요율 
      6.    창고 회사의 종량 기본요율 & 할증요율 

       * 계산 방법 
      1. 종가율은 감정가격에 관세를 더한 금액에 보관료율을 곱하여 계산. 
      2. 종량율은 항공화물은 ㎏당, 선박화물은M/T당으로 계산하여, 중량톤 또는 용적톤 중 큰 것을 적용하여 곱하여 계산. 
      (1CBM= 1TON 으로 간주하여 부피와 중량 중 큰 것으로 적용) 
      3. 보관료계산시 적용요율은 해당화물의 보관일수에 해당하는 요율을 전기간에 대하여 적용. 
      4. 보관료는 보관일수에 따른 기본료와 할증료를 합산. 

      *추가 설명 
      보관료= 종가요금 + 종량요금 + 부대요금(상.하차료)   
      종가요금(종가율)= [과세가격 + 관세] X [기본료율 + (할증료율 X 보관일수)] 
      종량요금(종량율)= [중량 (KG)]    X [기본료율 + (할증료율 X 보관일수)] 
      종가율은 감정가격에 관세를 더한 금액에 보관요율을 곱하여 계산        
      종량율 경우 해상화물은 kg당 또는 CMB당으로 한다. 

                   
      보관일수 계산은 입고기간 부터 출고 시간까지로 한다.                                
      보관료 계산시 적용요율은 해당화물의 보관일수에 해당하는 전 기간에 대해 적용 

      LCL수입 창고료 계산기

      https://www.tradlinx.com/warehouse-charge-calcul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