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21.12.28

코로나치료제와 같이 복용하면 안되는 약 뭐예요?

젊은층은 대체로 복용약이 적거나 없을 수 있겠지만,

니이가 있으신 분들은, 기본적으로 한두가지 복용약이

있을 것 같은데요. ㅠㅠ

코로나치료제와 같이 복용하면 위험한 약 뭐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병열 약사입니다.

    현재 사용중인 주사형 치료제 렉키로나주의 주의사항으로 약물상호작용에 대한 내용은 적혀있지 않으며 베클루리주도 약물상호작용에 대한 시험을 하지 않았고 클로로퀸과의 병용을 금지한다는 내용만 있을 뿐 다른 병용금기내용은 없습니다.

    국내 승인된 화이자의 팍스로비드도 약물상호작용에 대한 내용은 알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현재 FDA와 식약처 승인을 받은 팍스로비드는 CYP3A 기질로서 리토나비르 병용투여 시 해당 약물의 체내 노출이 증가하여 생명을 위협하는 반응이 발생할 수 있는 경우’ 또는 ‘CYP3A 유도제로 니르마트렐비르나 리토나비르의 노출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약물인 경우에는 병용 금기이며 반드시 의사의 판단하에 처방 받아 복용하시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성 약사입니다.

    상호작용이 있는 약물은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는 않앗습니다

    현재 FDA는 화이자의 팍스로비드 머크사의 몰누피라비르를 긴급 승인하였습니다. 우리나라 역시 긴급 사용승인을 검토할것으로 보입니다. 경증 코로나19 환자에게 사용될것으로 보이며 의학젓으로 적합한 경우 사용될것으로 보입니다. 18세이하 에는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복용 금지이며 약 복용자의 경우 당분간은 피임을 해야한다고 알려졌습니다. 머크사의 약은 사망률을 낮추는 율이 30%로 화이자의 90% 보다 효능성이 낮아 논란이 있었으나 최종적으로 긴급승인 되었습니다. 식약처에서도 치료제를 승인하였습니다. 먹는 치료제는 백신과는 다른 약으로서 백신이 코로나19 예방에 도움이 되는건 변하지 않습니다. 치료제가 있어도 백신 접종은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특별히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과 복용시 주의해야 하는 약은 없습니다. 기저 질환으로 복용중인 약, 비타민, 건강 보조제 등은 상관없이 복용가능합니다. 스테로이드, 소염진통제의 경우 항체 형성을 저해할수도 있기에 복용을 피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1.12.29

    안녕하세요. 김명중 의사입니다.

    일반적인 많은 약물들이 백신 접종과 상관없이 복용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류마티스 질환, 고형암, 혈액암, 이식관련 면역억제 치료중인 경우 접종 일정의 조정이 필요한 경우가 있어 주치의 선생님과 충분한 상담 후 결정해야 합니다.

    대표적으로는 고용량 스테로이드 (2주이상, 20mg이상 복용), TNF 차단제, 일부 항암제 등이 있습니다.


  • 최근 식약처에서 사용을 승인한 먹는 코로나19 치료제 (팍스로비드)는 다음달 중순 부터 국내에서 사용합니다.

    코로나19 확진 후 집이나 생활치료센터에서 격리 치료를 받는 환자를 중심으로 처방될 예정이며, 모든 확진자에게 사용되지는 않고 중증으로 진행할 위험이 높은 경증, 중등증의 성인과 만 12세 이상 (40kg 이상)에서 백신 접종 여부와 무관하게 사용가능합니다.

    최근 진행한 임상시험에서 증상이 나타난지 5일 이내 투여했을 때 입원 및 사망 비율이 88% 감소한 바 있습니다. 델타, 뮤 변이 등에는 실험에서 효과가 확인되었으나 오미크론에 대해서는 아직 충분한 임상 데이터가 없으나 코로나19 바이러스가 공통적으로 갖는 단백질 생성을 억제하는 기전으로 작용하므로 변이와 상관없이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기존에 사용중인 항체치료제 (렉키로나)는 병원에서 1시간 동안 주사로 맞아야 하지만 경구 치료제 (팍스로비드)는 경구약으로 환자가 스스로 복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렉키로나는 냉장, 팍스로비드는 실온에서 보관합니다. 팍스로비드는 두가지 (흰색 리토나비르 1개, 분홍색 니르마트레비르 2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한번에 3정씩 12시간 간격으로 총 5일간 총 30정을 복용합니다. 양성 판정 후 증상 발현 5일 이내 가급적 빨리 복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주된 약효는 분홍색 약에서 나타나며 흰색 약은 효과가 체내에서 오래 유지되도록 돕는 효과를 하며 두 종류 약을 모두 먹어야 기대하는 효과가 나타납니다.

    임상시험에서는 설사, 울렁거림, 미각 이상 등이 나타났으며 대부분 증상은 가벼웠고, 투약 종료 후 호전되었습니다.

    간과 콩판에 중증 장애가 있는 경우 사용이 권장되지 않으며, 임신부와 수유부에서 모두 복용이 가능하지만 수유를 중단해야 합니다. 협심증, 부정맥, 고지혈증, 통풍과 같은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 기존 약을 중단해야 할지 주치의와 상의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영 의사입니다.

    일부 진통소염제와 스테로이드 같은 약물은 항체 생성에 방해가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질문자분처럼 발열 증상에는 타이레놀을 복용하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복용 기간은 증상이 없어질때까지이며 열이 나지 않는다면 굳이 지속해서 복용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윤 소아과의사입니다.

    어떤 치료제이냐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현재 치료제가 사용 중인 것이 아니기에 해당 부분에 대해서는 추후 확인이 필요합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안중구 의사입니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코로나 치료제는 폐렴약물과 동일한 성분의 경구약물이고 다른 약물과의 교차반응을 최소화 하기 위해 고혈압 당뇨등 만성질환 조절용 약물 이외에 모든 약물은 중단후 치료를 지속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승 약사입니다.

    질문자님께서는 코로나 치료제와 같이 병용하면 안되는 약이 무엇인지 궁금하시군요.

    간이나 콩팥에 중증 장애가 있는 사람은 복용이 권장되지 않습니다. 임신부나 수유부는 복용은 가능하지만, 의사와 먼저 상의할 필요가 있고 투여 중 수유는 중단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부정맥, 고지혈증, 통풍, 협심증 환자는 기존 약을 중단해야 할지 의사와 상의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민석 약사입니다.

    코로나19 치료제의 약물상호작용에 대한 평가는 없었고 베클루리주에 대해서는 CYP2C8, 2D6, 3A4의 기질, OATP1B1과 P-gp의 기질 이라고 하였으므로 이 효소들의 억제제 또는 효능제에 의해 약물효과가 변할 수 있습니다. 또한 베클루리주는 클로로퀸과 병용금기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입니다.

    아직까지는 정확한 가이드라인이 나오지 않았습니다.

    현재로서는 어떤 약과 병용이 불가능한지에 대한 정확히 알려진 것이 없으며 코로나 치료제가 국내에 도입되는 시점에서 정부의 지침 사항을 확인해보아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국내 첫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로서 긴급사용승인을 받은 팍스로비드는 미국 화이자가 생산하고 한국화이자제약 수입하는 제품이다. ‘니르마트렐비르’ 정제(타원형 분홍색 정제) 2정과 ‘리토나비르’ 정제(흰색의 장방형 정제) 1정이 함께 포장되어 있다.

    ◆리토나비르 병용투여 시 해당 약물의 체내 노출이 증가하여 생명을 위협하는 반응이 발생할 수 있는 약물 (22개 성분)
    ▲진통제 - 페티딘, 피록시캄, 프로폭시펜
    ▲항협심증제 - 라놀라진
    ▲항부정맥제 - 아미다론, 드로네다론, 플레카이나이드, 프로파페논, 퀴니딘
    ▲항통풍제 - 콜키신
    ▲항정신병약물 - 루라시돈, 피모자이드, 클로자핀
    ▲에르고트유도체 - 디히드로에르고타민, 에르고타민, 메틸에르고노빈
    ▲HMG-CoA 환원효소억제제 - 로바스타틴, 심바스타틴
    ▲PDE5 억제제 - 실데나필
    ▲진정・수면제 - 트리아졸람, 경구용 미다졸람

    ◆니르마트렐비르나 리토나비르의 노출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약물 (6개 성분)
    ▲항암제 - 아팔루타이드
    ▲항경련제 - 카르바마제핀, 페노바르비탈, 페니토닌
    ▲항마이코박테리아약물 - 리팜피신
    ▲생약제제 - 세인트존스워트

    https://www.yakup.com/news/index.html?mode=view&nid=264743


  • 안녕하세요. 조영지 약사입니다.

    아직까지 정확히 알려진 사실은 없습니다.

    코로나치료제는 다른 약과 다르게 일반인들에게 공급되거나 약국에서 구매할 수 없는 형태입니다.

    따라서 사용 전에 전문가의 지도하에서 사용할 것으로 보이며 이때 필요하다면 기존 약들을 끊을 것으로 보입니다.

    아직까지는 치료제에 대한 정확한 가이드라인이 없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양은중 약사입니다.

    주의하실 약은 다음과 같습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36337#home


  •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제는 아직까지 정식 출시되지 않았으며 관련된 자세한 정보는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직까지 해당 약물의 적응증, 금기증 및 상호 복용 불가능한 약물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

    코로나 백신을 접종 하더라도 평소에 지병이나 만성 질환으로 복용 중이던 약물을 지속적으로 복용 하기를 권고 하고 있습니다.

    일부 면역억제제를 제외한 대부분의 약의 경우 백신으로 인한 면역 형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자세한 사항은 해당 약을 처방받은 의료기관이나 약국에 문의해보시는게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변종석 약사입니다.

    솔직하게 말씀드리면 코로나 치료제가 공식적으로 없는 게 맞습니다.

    다만 치료제가 없다고 치료법이 없는 건 아닙니다.

    무슨 말이냐면 코로나로 인한 증상이 바이러스성 폐렴이기 때문에

    환자의 면역력을 회복시키는 데 초점을 맞춰 치료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바이러스 칵테일 요법, 인공호흡기 치료 등 간접적인 요법을

    실시하면서 바이러스 증식을 억제하며 치료를 시킨다고 보시면 됩니다

    답변이 도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승우 약사입니다.

    팍스로비드 투약제한 대상은 아래와 같습니다.

    • 중증 간,신장 장애 환자

    • 임산부, 수유부

    • 고지혈증, 통풍, 협심증약 병용금기

    대표적인 부작용으로는 미각 이상, 설사, 혈압 상승 및 근육통이 나타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아직은 정보가 부족합니다.

    현재 국내에도 승인되었으나 수입예정이 구체적으로 잡히진 않았습니다. 치료제가 100% 코로나에 대처가 되는건 아닙니다. 머크사의 치료제는 실제 그 효능이 30%로 많이 낮춰진 상태입니다. 화이자의 치료제는 바이러스가 증식하는 과정을 차단해서 마찬가지로 중증으로의 진행을 막아줍니다.

    또한 약제 부작용이 아직 완전히 알려진것도 아닙니다. 심각한 부작용이 생겨서 사용중단 될수도 있습니다.

    현재는 예방이 최선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코로나 치료제는 대부분 항바이러스제이며, 이러한 항바이러스제는 보통 간의 대사효소에 영향을 주는 약들과 같이 먹으면 부작용 우려가 커질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고지혈증약, 다른 항전간제(발작에 사용하는 약), 항원충제 등과의 상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주의해서 복용이지 무조건 금기는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