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초장에담긴브로콜리160
초장에담긴브로콜리16023.07.27

미국 기준금리가 5.5%가 되었는데 한국에 미치는영향은?

미국 기준금리가 5.5%가 되어 한국과 2%차이가 발생하였는데도 한국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않은듯 합니다?

벌써 주가는 바닥을 치고 환율이 급등하거나 해야하는데 왜 우리나라 경제가 잘버틸수있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예, 말씀하신대로 다행스러운것은 환율이 급등하지는 않았다는 것입니다. 그래도 최근 기준금리갭으로 인해 환율의 변동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경제가 잘 버티려면 수출이 잘 돼야 합니다. 지난달에서 다행이 무역흑자였는데 이번달에 어려움 많습니다.

    당분간은 기준금리 갭으로 환율의 변동을 커질 것이고 주식에서는 외국인 자금이탈이 많지 않겠지만 채권쪽에서 늘어날 확률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이제 점점 그 시기가 빠르게 올 것으로 보이는데요.

    경기침체 다소 완화되었어도 고금리에 물가는 높고 가계부채는 늘어가는데 너무 주식 과열 증상이 있었습니다.

    이미 외국인들 매도세로 돌아섰구요. 거품이 빠지는 것이죠.

    어제 ,오늘만 1조5천억 이상이 빠졌으니 점차 더 빠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조정장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안녕하세요. 유동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앞으로 더 이상 금리가 올리기가 힘들다는 사실로 인해 원달러 환율이 급등하지 않는 것으로 보이는데요.


    본래 금리가 높은 곳으로 자금이 몰리기 때문에 외국인 자금 유출 압력이 커진 게 사실인데요.


    만약 미국 경제지표가 금리 인상 가능성에 힘을 쏟는다면 언제든지 외국인이 돈을 뺄 가능성 이 큰 만큼, 주의해야하는 시점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작은폭의 인상이었기 때문에 이것이 드라마틱한 결과로 나타나지는 않았습니다만, 한미금리차가 큰 만큼 한국금리도 오를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고 있고, 한국금리 변동에 따라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과 기준금리차이는 2프로 정도 나긴하지만 실제 미국국채 10년물과 한국 국고채10년물 금리차이는 0.1~0.2프로 정도 밖에 차이가 안납니다 미국10년물이 3.85 수준 한국이 3.65 수준이거든여 그래서 크게 영향이없는거 같아용!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향후 불확실성이 어느정도 해소되어

    환율이 급등하지 않는 것으로 보이지만

    아무래도 우리나라도 금리인상 압박이

    커질 수 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선 미연준의 금번 금리 인상은 예견된 것이라 시장의 반응은 평소와 다르지 않았습니다. 금리 정점에 대한 컨센서스가 굳어지고 있어서 오히려 금번 금리 인상을 반기는 주식 시장입니다.

    다만, 2%의 한미 금리 격차는 환율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당장에 환율이 소폭 올랐고 이 정도 금리 차는 현재와 같은 고환율을 당분간 유지시킬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국은행은 미연준처럼 금리 인상에 나서기는 힘듭니다. 경기 침체 하에 있어 자칫 금융 시장 혼란으로 실물 경제를 더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일본이 최근 제로 금리 유지를 재차 천명한 것도 한국은행의 현재와 같은 금리 수준 유지에 힘을 얻고 있습니다.

    다만, 높은 환율에 따른 수입물가 상승은 피할 수가 없을 듯합니다. 여러 정황을 봤을 때 한국 경제도 어느 정도 고물과 고환율에 내성을 갖추고 있는 듯합니다. 대표적인 사례가 현대차의 사상 최대 실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금융시장의 경우 이미 미국금리가 5.5%까지 오를것으로 예상하고 시장참여자가 의사결정을 하였기 때문에 큰 타격은 없습니다. 단, 추가적인 금리인상과 현재의 금리가 지속될 경우 우리나라의 금융시장이 흔들릴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이미 선반영이 되어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특별한 영향은 없으며 경제가 회복 될 시 반도체를 기반으로 하는 우리나라 산업의 회복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자본 유입이 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번 금리인상에 대해서는 충분히 선방영이 된 상황이기 때문에 별다른 자산시장이나 환율에서나 큰 변동성은 발생하지 않은 상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