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내과

반반한뱀114
반반한뱀114

시한부 받는 병 중에 전염성이 있는 병이 있을까요?

성별
남성
나이대
25
기저질환
복용중인 약

안녕하세요. 조금 어리석은 질문이긴 하나 걱정이 되어서 질문을 드리려고 합니다.

5일전 한 익명의 대학교 커뮤니티에서 한 분을 만나서 술을 먹었습니다.(둘 다 20대 중반)

만나서 얘기를 하다가 그 분이 본인이 병에 걸렸다고 말했습니다.

의사의 말로는 남은 기간이 1년 정도라고 하고 관리에 따라서 1년이 넘어갈수도 줄어들수도 있다고 합니다.

그렇게 얘기를 하던 와중, 국 종류의 음식이 나왔고 저희는 한 그릇으로 그 음식을 같이 먹었습니다. 그리고 음료수를 한 컵으로 나눠 먹었습니다.

즉, 직접적인 체액 접촉은 아니나 간접적으로 체액이 접촉했다고 생각이 듭니다.

그런데 집에 와서 생각해보니 조금의 무서움이 들었습니다. 혹시나 그 분한테서 병이 전파되는게 아닌가 하고요.

물론 제일 힘든건 당사자일 것입니다. 저도 얘기를 들으면서 안쓰러움과 동정심 등의 감정이 들었고 이게 죽을 사람 앞에서 무슨 이기적인 생각을 하고 있는 것인가 생각이 들지만,

상대의 정보를 모르는 상태에서 만난 것이고 최악의 상황에서 나타날 상황들이 좀 두려워졌습니다.

물론 거짓말이라고 여겨질 수도 있었지만 둘 다 같은 대학교 그리고 그 분은 여대생이셨고 건너건너 서로 겹치는 지인이 있을만큼 신뢰성이 있는 분이라는 점

그리고 그 분과 나눈 대화 그리고 그때의 정황 등을 생각해보면 그런 장난은 치지 않을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제가 생각에는

"그렇게 전염성이 높은데 사망률까지 높은 질병을 가진 환자를 국가가 이렇게 자유롭게 돌아다니도록 내버려두진 않을 것 같다"는 생각으로 자기 합리화 중 입니다만, 걱정이 사라지질 않아서 질문을 드립니다.

제가 추측한 질병으로는 현재 췌장암, 난소암 같은 암 밖에 생각나지 않는데(암은 전염성이 없다고 알고 있습니다)

혹시 그거 말고 다른 질병 중에 저희 같은 20대가 걸릴 수 있는 전염성이 있는 위험한 질병이 뭐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태현 의사입니다.

      질문자분의 걱정을 이해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질병은 단순한 음식 공유나 음료수를 나눠먹는 것만으로는 전파될 가능성이 매우 낮습니다.

      암과 같은 질병은 전염성이 없습니다. 췌장암이나 난소암과 같은 암이 다른 사람에게 전파될 가능성은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20대에서 가장 흔히 발생할 수 있는 전염성 질병은 감기, 독감, 수두 등의 바이러스성 질병이나 성병 등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질병들은 주로 호흡, 체액 접촉, 성 접촉 등 특정한 경로를 통해 전파됩니다. 그리고 질문자분ㅇ이 언급한 상황에서는 전파될 가능성이 매우 낮습니다. 또한, 만약 그 분이 그렇게 위험한 전염성 질병을 가지고 있다면, 의사나 병원에서 그런 상황에서 다른 사람과 음식이나 음료를 공유하는 것을 자제하라는 조언을 받았을 것입니다.

      단순한 음식 공유나 음료수 나누기만으로 전파되는 질병 중에는 아주 몇몇 바이러스성 간염이나 결핵 같은 것이 있을 수 있지만, 그렇게 전파되기 위해서는 특정한 조건이 필요하며, 당신의 상황에서는 그 가능성이 매우 낮다고 생각됩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

      후천성면역결핍증과 같은 질환은, 진단 후 대게 10~15년 뒤에 사망하는 환자군이 많은 만큼 사망률이 높은 질환이며 전염성이 있는 질환의 예가 되겠습니다. 다만 암의 경우는 전염이 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aha 의료 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 상황으로는 위중한 질병의 전염 가능성은 낮아보입니다.

      20대에 발병할 수 있는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질병은 시한부로 1년 보다는 급속도로 악화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정확한 판단은 어렵네요. 가장 가능성이 있는 것은 HIV 감염이지요. 에이즈라면 감염 질환으로 사망할 수도 있기는 합니다만, 요즘에는 약이 좋아서 만성 질환처럼 관리가 가능하다는 점이 중요하지요. 감염 질환이 침을 통해 전달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보셔도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