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리하파파
리하파파22.08.03

갯벌에 조수간만의 차는 왜일어나는건가요?

가끔 갯벌에 가서 조개나 게를 잡으러 가는데 갯벌에 물이 갑자기 차거나 빠지고

하는데 조수간만의 차는 왜 일어나는건가요?어떤 원인이 있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지구의 자전과 해와 달의 인력에 의해 조수간만의 차가 생깁니다.

    지구가 자전을 하는 것은 바다에 원심력을 발생시킵니다.

    적도 부근이 원심력이 가장 크기 때문에 적도 부근으로 지구의 바닷물이 쏠리는 현상이 생깁니다.

    그리고 지구와 달, 지구와 태양 사이 서로 만유인력이 발생하는데,

    태양 달 지구의 위치에 따라 지구에 최종적으로 발생하는 인력이 달라집니다.

    이러한 인력의 차가 조수간만의 차를 발생시킵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재 과학전문가입니다.

    조수간만의 차는 지구의 공전, 자전 그리고 달의 공전, 지구에 대한 태양과 달의 만유인력 때문에 생김니다.


    지구의 자전속도와 달의 공전속도는 거의 비슷합니다.

    이때 달, 지구, 태양 또는 지구, 달, 태양이 순서되로 나열되었을 경우 태양과 달과의 지구와 일직선 부분이 인력이 극대화되어 해수면이 높아지는 만조가 되고, 그 윗부분 밑부분이 해수면이 낮아지는 간조가 됩니다.


    그 외에도 태양, 지구 그리고 달이 위에 있거나 밑에 있을 경우 달 쪽으로 만조가 그렇지 않은 부분에 간조 현상이 일어남니다.


  • 안녕하세요. 이아하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의 인력이 바닷물을 끌어당기기때문에 조수간만(간조 만조) 차이가 나게 되는 것 입니다ㅎㅎ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조수간만의 차는 태양, 달의 만유인력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지구는 태양주위를 공전하고 달은 지구 주위를 공전합니다. 그리고 지구는 자전을 하고 있죠. 그래서 지구가 자전하면서 우리나라가 달과 가까워지거나 태양과 가까운 위치에 놓일때가 있습니다. 이때 만유인력이 작용해 해수면이 상승하고, 태양이나 달과 가장 멀어지는 시기에 해수면이 하강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조수간만의 차가 나타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