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표적인 귀족사회는 고려시대를 들 수 있습니다. 고려시대도 광종 대 과거제 도입으로 관료 사회로 진입했다는 해석도 있지요.
고려는 신분이 좀더 중요했지만 조선은 능력이 좀더 중시되어 능력사회에 가까워졌습니다. 조선은 대체로 양반관료제 사회로 봅니다. 양반은 문반과 무반을 칭하는 것인데, 한번 양반이 되었더라도 과거를 오랫동안 못들면 그 가문은 한미한 가문이거나 몰락하기도 했습니다.
양반은 면역의 특권이 있었습니다. 조선 전기에는 국가로부터 수조지를 받아 경제적 특권도 누렸습니다. 수조지는 관직의 위계에 따라 차등지급받았으며 따라서 과거에 합격하여야 그 특권을 누릴 수 있었습니다. 고려시대에는 과거 시험을 치르지앓고 고위관직의 후예로 관직에 들어가는 음서가 유행했지만, 조선은 음서의 대상도 대폭 줄이고 음서출신을 부끄러이 여기고 또 음서출신은 고위직이 되기 어려운 현실이었습니다. 고려보다 진일보한 능력사회적 모습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