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날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매우 높은 관세를 때렸는데 중국과 미국의 관세 전쟁시 우리나라 경제는
현재 미국 대통령 도날드 트럼프가 중국을 상대로 매우 높은 관세를 때렸다고
하는데요 그리고 미국과 중국의 관세 전쟁이 시작되었는데 그럼 우리나라
경제는 어떻게 되는가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미국과 중국의 관세 전쟁은 한국 수출 경제에 직접적인 타격을 줄 수 있습니다. 중국을 통해 미국으로 재수출되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중간재 수출이 위축될 뿐만 아니라, 중국의 대미 수출 감소로 인해 유럽 등 제3국 시장에서 중국 제품과의 경쟁이 심화될 전망입니다. 특히 철강자동차정밀화학 분야의 대미 직접 수출 감소와 금융시장 변동성 증가가 우려됩니다.
중국 경기 위축에 따른 저가 제품의 국내 시장 유입 증가와 대중 수출 부진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높습니다. 미국의 상호관세 유예 조치로 일시적 숨통이 트였으나, 글로벌 공급망 교란과 수출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의 구조적 취약성이 노출될 수 있습니다. 내수 시장의 중국산 제품 덤핑 공세와 해외 시장 경쟁 격화가 동시에 발생하면 이중고가 예상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중국에 대한 상호관세와는 별개로 중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들은 국가별 상호관세 정책이 90일간 유예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직접적 영향은 줄어들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미국과 중국간 수출입이 1,2 위를 차지하고 있는 만큼 영향권 내에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중국-한국 연결공정에 따라 제조가 이루어지는 물품이 많아 만약 이에 대해 한국산 판정이 불가능하다면 중국산으로 판단되어 관세를 납부해야할 수도 있어 타격이 예상됩니다.
또한 우리나라는 철강, 알루미늄, 자동차에 대한 관세부과에도 노출되어 있어 수출경쟁력 약화 등의 상황에 직면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대해 최대 14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면서 미중 간 관세 전쟁이 본격화되었습니다. 이러한 갈등은 단순한 무역 분쟁을 넘어 글로벌 패권 경쟁의 일환으로, 미국은 중국의 기술 굴기와 위안화 국제화 시도를 견제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이에 맞서 84%의 보복 관세를 부과하고 위안화 가치를 절하하는 등 강경 대응에 나서고 있습니다 .
이러한 미중 갈등은 한국 경제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한국은 중국에 중간재를 공급하고, 미국에는 완제품을 수출하는 구조로, 양국 간 무역이 위축되면 한국의 수출도 타격을 입게 됩니다. 특히 자동차 산업은 미국의 25% 관세 부과로 인해 수출 감소와 생산 비용 증가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
현재 한국 정부는 긴급 지원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미중 간 갈등이 장기화될 경우 근본적인 해결책을 찾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수출 시장 다변화, 기술 경쟁력 강화, 산업 구조 고도화 등 중장기적인 전략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정부와 기업의 긴밀한 협력이 요구됩니다. 그러나 현재 한국은 수뇌부의 부재로 일종의 무정부상태이며, 아울러 중국, 미국 양쪽 모두 긴밀한 경제협력을 필요로 하는 국가이기에 이러한 부분에서 결정을 내리기가 어려운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