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조용한문어80
조용한문어8024.02.19

이승만 박사가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왜 초대 대통령으로 추대되었나요?

임시정부긴 하지만 통합된 임시정부에 이승만 박사가 어떻게 초대 대통령으로 추대되었나요?

이승만 본인도 모르게 대통령이 된거라고 하는데 이승만이 초대 대통령이어야 하는 이유가 있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통령 추대와 관련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임시정부 규정에 없는 대통령 직책을 사용한 것에 대해 안창호와 갈등을 빚었지만, 상해 임시정부 의정원은 1919년 9월 6일 이승만을 임시 대통령으로 추대하여 1920년 12월부터 약 6개월 동안 상해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통령직을 수행하였다고 합니다.

    1925년 3월 11일 임시정부 의정원은 이승만을 탄핵해 대통령직을 박탈하였다. 임시정부 인사들은 이승만이 주장한 국제연맹 위임통치안을 미국에 의한 위임통치로 오해하고 강하게 비판하였습니다.

    1948년 5월 10일 실시된 국회의원 총선거에서 동대문구 갑 지역구에 당선되었습니다. 1948년 5월 31일 국회가 소집되자 선출된 국회의원 중 가장 나이가 많았던 그가 의장에 선출되었으며, 7월 20일 국회에서 선거에 의해 대한민국 대통령에 선출되어 7월 24일 대통령에 취임하였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승만 대통령은 1945년 해방 직후 귀국하여 신탁통치 반대운동 및 남한 단독정부 수립 운동을 펼쳤고,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함께 초대 대통령에 취임했습니다. 초대 대통령이 된 이유는 미군 군정과의 의사 소통이 다른 후보자에 비해 월등 했기 때문 입니다. 재임기간 중 3년간의 6·25 전쟁을 겪었습니다. 1950년대에는 여러 차례의 개헌과 부정선거를 통해 영구집권을 꾀하였으나 1960년 4·19로 대통령 직에서 하야하였고, 그 직후 하와이로 망명하여 여생을 보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광복 직후 애국지사들은 남북의 분단을 막고, 통일 정부 수립 운동을 전개했습니다. 그러나 미국과 소련은 한반도를 38도선으로 나누고, 모스크바에서 결의하여 자신들의 입맛에 맞는 나라를 수립하려고 했습니다. 냉전이 격화되자 미국과 소련의 대립으로 모스크바 결의는 무의미하게 되었으며, 1947년 9월 미국에 한반도 문제를 유엔에 상정했습니다. 1947. 11월 유엔총회에서 인구비례에 의한 총선거를 결의했으나 소련의 거부로 불가능해지자 1948년 2월 유엔소총회의에서 남한만의 총선거를 결의하고 분단이 기정사실이 됩니다.

    당시 이승만은 남한만의 단독정부 수립을 주장하며, 김구 등 통일 정부 수립 운동가들과 대립하였습니다. 결국 남북협상파 등 통일정부 수립을 주장하는 세력은 불참한 가운데 남한만의 1948년 5월 10일 총선거를 시행합니다. 제헌국회 의장이었던 이승만은 대통령제 제안을 수용한 헌법에 따라서 제헌국회의서 이승만은 대통령으로 선출될 수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