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어디고
어디고

주식을 볼때 ROE 몇%라고 있던데 무슨말이죠?

제가 아직 주식 초보라서요 PER의 경우는 너무 높지않으면 좋고 ROE는15% 안넘는선이 좋디고하던데 각각 어떤 뜻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PER은 주가를 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값 즉, 주가수익비율인데요. 주가를 1주당 예상 순이익으로 나누면 주가수익비율(PER)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PER 값이 낮다면 이익 대비 주가가 낮은 것으로 해당 기업이 저평가 되었다고 보고 투자를 하시면 좋습니다.

    그리고 ROE는 기업이 자기자본(주주지분)을 활용해 1년간 얼마를 벌어들였는가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수익성 지표로 ROE가 15%이면 1억원의 자본을 투자한 경우 1천5백만원의 이익을 냈다는 것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roe와 같은 경우 자기자본이익율로

    내가 투입한 자기 자본이 얼마만큼의 이익을 나타내는지

    알려주는 지표이며 기업의 이익창출 능력입니다.

    보통 높을수록 좋다고 보나 항상 그런 것은 아니니 참고하세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ROE는 기업이 주주가 투자한 자본으로 얼마나 많은 이익을 냈는지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쉽게 말해, 기업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자본을 운용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척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ROE가 높을수록 기업이 주주 자본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높은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일반적으로 ROE가 높은 기업일수록 성장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됩니다.

  • ROE(자기자본이익률)는 기업이 자기자본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이익을 창출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ROE는 순이익을 자기자본으로 나누어 계산하며 수치가 높을수록 기업의 수익성이 좋음을 의미합니다.

    ROE가 15%라면 자기자본 100만원에 대해 15만원의 순이익을 올렸다는 뜻입니다.

    일반적으로 투자자들은 ROE가 15% 이상일 때 기업의 경영 효율성이 높다고 평가합니다.

    반면, PER(주가수익비율)은 주가가 주당순이익(EPS) 대비 얼마나 높은지를 나타냅니다.

    PER는 주가를 주당순이익으로 나누어 계산하며 PER가 지나치게 높으면 시장이 해당 기업의 성장 가능성을 과대평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PER 범위를 찾아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PER은 주가수익비율인데, 업종 평균 PER 대비 비슷한 수준이거나 조금 높은 것까지는 괜찮고, ROE의 경우 자기자본이익률인데, 이게 너무 과도하게 높으면 부채가 많다는 의미일 수 있어서 10~15% 정도 선이면 나쁘지 않다고 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ROE는 자본을 투입후에 수익이 얼마나 되는지를 지표로 나타낸 것입니다

    • 예를들어 10억 투자 후 1억의 수익이 발생하면 ROE는 10%에 해당하는 것입니다.

    • ROE가 높으면 마진이 높다는 것이기에 기업에 경쟁력이 있다고 볼 수 있는데 반대로

      ROE 지표가 무조건 높다고 투자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ROE(Return on Equity)는 자기자본이익률로, 기업이 주주의 투자금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이익을 창출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라고 생각합니다. 일반적으로 ROE가 높을수록 기업의 수익성이 좋다고 볼 수 있지만, 15% 이상이면 지속 가능성에 의문이 들 수 있습니다. 너무 높은 ROE는 과도한 부채 사용이나 일시적인 요인에 의한 것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PER(Price to Earnings Ratio)은 주가수익비율로, 주가가 주당순이익의 몇 배인지를 나타냅니다. 낮은 PER은 주가가 상대적으로 저평가되어 있다고 볼 수 있지만, 너무 낮으면 기업의 성장 전망이 좋지 않을 수 있습니다. 산업 평균이나 경쟁사와 비교하여 판단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이 두 지표는 기업의 재무 상태와 주가 수준을 평가하는 데 유용하지만, 다른 요소들과 함께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판단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ROE에 대한 내용입니다.

    ROE란 Return On Equity로 이는 자산대비 수익률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자기자본 이익률이라구합니다 return은 수익률이며 e는 Equity의 자본이라는 용어입니다

    즉 부채가 아닌 자기자본 즉 주식에선 주주의 자본을 말하고 주주의 자본이라고 볼수 있는 자본금 항목대비 기간수익 즉 1년간 발생된 순수익을 나눈 값을 자기자본이익률 ROE 라고 합니다

    즉 예를들어 자기자본인 자본금이 100억인 기업이 순수익이 1000억이 발생하면 10프로의 ROE가 발생하는것이며 이게 주주자본이익률이라고 합니다

    이를 높이기 위해선 부채를 늘려서 자산을 늘려 이익사이즈를 늘리거나 자본금을 줄이는 배당이나 자사주소각으로 자본금을 줄일경우 이 ROE가 높아지는 구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