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G 최초발명자가 일본인이고 다시마로 만들었다는데 나쁜가요?
1907년, 다시마 국물의 풍미를 연구하던
일본화학자 이케다 키쿠나에가 최초로 발견하고
대량생산도 성공한 것이
MSG 라고 압니다.
최초 생산법은 단순히 다시마를 산분해해서 추출하는 방식이었는데요..
현대는 사탕수수 당액에 글루타민산 을 생산하는 균을 투입하여 발효시켜
미생물의 대사생산물로서 생산하는 생 합성법을 사용한다는데요..
MSG는 화학조미료가 맞긴하지만
MSG 분자는 화학적으로 합성, 변형하지 않으며
단지 미생물, 동식물 등에서 추출, 정제, 농축할 뿐인데
진짜 자연에 있는 성분을
방식만 다르게 해서 뽑아내는 것인데
이게 우리가 다싯물 만들 때 푹~~~~ 고아서 어느정도 뽑는거나
크게 다르지 않고
단지 그게 농축된거라 효율이 좋게 쓰는 거라 생각되는데
이게 그렇게 나쁜가요?
안녕하세요
msg는 글루탐산 나트륨이라는 조미료를 의미하며 존재하는 화학 성분을 사용하여 만들어진 식품 조미료입니다
따라서 적당량 섭취하면 큰 문제가 되지않습니다
MSG는 화학적으로 합성되는 화합물이지만, 자연에서 발견되는 글루타민산의 염이기 때문에 일부 화학조미료를 싫어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논쟁거리가 됩니다. 그러나 MSG의 사용은 건강에 해로운 것으로 일반적으로 인식되지는 않습니다.
다소 논란이 있지만, MSG는 FDA 등 다양한 건강기관에서 안전한 식품첨가물로 인정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MSG는 많은 양으로 소비되지 않는 한 대부분의 사람들에게는 안전하게 소비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사람들은 MSG를 섭취하면 두통, 어지러움, 소화 문제 등의 증상을 겪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증상은 MSG에 대한 과민 반응으로 인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해당 식품을 피하거나 식품 성분을 확인하여 MSG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많은 연구가 MSG에 대한 안전성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연구 결과는 MSG가 적절한 양에서 안전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우리가 음식을 할 때 주로 넣는 MSG 즉 화학 조미료는 화학 이라는 단어가 들어가서 그렇지 여러 가지 면으로 보면 건강상의 큰 문제가 없다고 세계 보건 기구에서 발표한 적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너무 나쁘게 생각할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