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아이언캐슬
아이언캐슬23.05.18

요즘에도 요소수를 중국에서 대부분을 수입하는가요?

작년정도에 우리나라에 요소수대란이 있었잖아요, 일년넘게 지난것 같은데요, 그런데 혹시 요즘에도 요소수를 중국에서 대부분을 수입하는가요? 아니면 중국수입의존도를 줄이고, 수입처를 다각화 했는가요? 관련 무역통계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요소수는 관세율표상 3102.10-9000호에 분류됩니다.

    위와 같이 수입량은 2021년 대비 2022년은 증가하였고 2023년은 아직 1분기밖에 지나지 않았으므로 비교가 곤란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

    요소수의 해당 HS코드는 3102.10-900호로 2022년-현재까지 관세청 통계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아직까지 중국에서의 소싱이 1위이며 카타르, 베트남, 인도네시아, 일본, 사우디, 말레이시아 등이 요소수 주요 수입국입니다. 다만, 보시는 바와 같이 아직까지 중국에서의 수입량이 압도적으로 1위로 수입처 다각화를 어느정도는 진행했지만 여전히 중국의존도는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답변 내용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추천' 및 '좋아요'를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박재민 관세사 드림


  • 1. 2021년 10월 중국은 호주와의 석탄분쟁이 일어나자 자국내 요소수 생산에 필요한 석탄과 전력이 부족해져서 사실상 수출제한 조치를 취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우리나라는 요소수 공급부족으로 디젤 차량인 화물차가 요소수가 필요하지만 멈추어 서게 되어 유통망에 비상이 걸리고 사상 초유의 화물대란까지 경험한 적이 있습니다.

    2. 차량용 요소수의 품목분류 HSK 3102-10-9000호로 분류되고,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 자료에 의하면, 올해 2023년 5월 현재 수리일 기준 차량용 요소수 전체 수입량은 101,606톤 미화 5,242만 달러이고, 국가별 수입량은 1위 중국 90,142톤 미화 4,692만 달러(수입량 비중 88.7%), 2위 카타르 8,446톤 미화 364만 달러(수입량 비중 8.3%), 3위 사우디아라비아 2,500톤 미화 90만 달러(수입량 비중 2.5%) 순으로 여전히 중국산 차량용 요소수 수입의존도가 88.7%로 매우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관련 무역통계상 2021년과 다르지 않게 2022년에도 중국의 요소 수입량이 가장 큰 편입니다.

    다만, 카타르,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여러 국가들로 관련 제품들에 대한 요소 수입의 공급망 다변화가 일부 이루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2021년과 2022년의 수입금액 차이를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요소수의 경우 HS code 제 3102.10-9000(기타 요소)에 분류됩니다.

    이러한 세번의 23년 수입실적을 살펴보자면 아래와 같으며 여전히 중국이 1등 수출국가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하며, 도움이 되신 경우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