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아이가 반에서 욕을 배워서 옵니다
안녕하세요
초등학교 아이가 반에서 욕을 배워서 옵니다
갑자기 말을 하다가 화가나면 욕을 하더라고요
그래서 크게 혼내고 어디서 배웟냐고 하니까 같은반 친구가 해서 배웟다고 하더라고요
이럴때는 어떻게 가르쳐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들이 학교에서 생활하다보면 주변의 친구들이 사용하는 욕을 듣고 자신도 모르는 사이 욕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떤상황에서든 욕을 하는 경우는 잘못된 행동이므로 욕을 하면 안된다는 것을 단호하게 교육시킬 필요가 있으며 바른언어로 표현할수 있도록 하는 것이 아이의 성장에도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최호성 보육교사입니다.
초등학교 아이들이 다양하고 같이 놀다가 욕을 하는것을 듣고는 자신도 모르게 욕을 할때가 생깁니다. 욕을 하는 것은 나쁜것이므로 하면 안된다는 것을 알려주는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초등학생이면 욕을 전혀 들어보지않은 학생은 없다생각됩니다. 그러나 그걸 모두가 입에서 내뱉지는 않습니다. 먼저 욕을 왜 사용하면 안되는지, 욕의 기원 등을 알려주는것도 도움이 됩니다. 욕은 습관이 되기 쉬우니 바른 언어습관을 갖도록 도와주셔야 할것같네요.
안녕하세요. 최혜정 보육교사입니다.
초등학교 아이가 반에서 욕을 배워서 사용하는 걸 부모님이 보면 큰 충격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이를 처음부터 너무 혼내지 마시고 어떤 뜻인지, 왜 쓰는지 물어보시는 게 좋습니다. 무슨 뜻인지 알고 쓰는 것인지, 친구가 써서 따라 쓰는 것인지 등을 대화를 통해 알아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왜 욕을 쓰면 안되는지, 화가 났을 때 사용할 수 있는 다른 표현을 알려주세요. 그리고 욕설이 나쁜 이유와 적절한 언어 사용의 중요성을 설명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요즘 미디어에 많이 노출이 됩니다. 따라서 비속어 등 좋지 못한것을 많이 배웁니다. 예전에 비해서 더 빠른 시간에 배우는데 이것을 인지하게 된다면 따끔하게 혼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이것이 잘못 됐다라는 인식을 가지도록 해서 고치도록 해주셔야 되겠습니다. 이 시기를 놓치면 아이는 당연한줄 알고 고치지 못하고 습관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하니 조금하시는게 좋겠습니다. 아이와 충분한 면담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욕은 비인격 적이며 상대방에게 모독하는 행위 입니다
친구에게 욕을 쓰는 행위가 얼마나 나쁜지 아이에게
교육 하여야 하며 담임선생님께도 알려 욕하는 아이를
주의를 주고 교육시켜서 해결 하여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욕을하는것은 다양한 요인이있을수있습니다
친구보다 강해보이기 위해서라거나 감정표현을 하기 위해서 그럴수있기에
아이의 감정은 공감하되 욕을 사용하는것은 서로간 좋지 않을수있는감정을 가질수있음을 이야기해주시고
감정표현에 적절한 대처 언어를 알려주시는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의 경우 또래를 통해 행동을 쉽게 모방하기 때문에 한 두번 욕을 할 수도 있지만 이것이 습관이 되지 않도록 단호하게 얘기해주셔야 합니다. 대신 왜 하면 안되는지 아이 눈높이에서 설명해주시는 과정이 꼭 필요합니다. 욕을 하면 다른 사람 기분이 나빠질 뿐 아니라 욕을 하는 자신의 기분도 나빠지는 것이니 다른 언어로 대체할 수 있도록 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욕을 하는 모습을 보고 많이 놀라셨을 것 같네요.
요즘 아이들은 은어를 사용하며 욕을 하면서 대화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신들의 언어라고 생각하며 욕을 하는 경우도 있고, 부모님들의 대화, 어른들의 대화, 미디어를 통해서 욕을 배우기도 하지요.
하지만 욕을 사용하는 행동은 옳지 않은 행동이기 때문에 아이가 욕을 내뱉었다면 그 즉시 단호하게 욕을 하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고, 왜 욕을 하는 행동이 옳지 않은지 그 이유를 설명해 주도록 하세요.
그리고 욕의 개념과 의미를 정확하게 알려주면서 욕을 하는 행동은 다른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라는 것도 인지시켜 주면 좋을 것 같네요.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나쁜건지 좋은건지 잘 모를때라 그냥 따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왜 나쁜말인지 인식 시켜주시면 괜찮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그 말로 인해 상대방이 기분 나쁠 수도 있다는 점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학교에서 또래끼리 있다가 보면 배우고 따라하는 게 너무 많습니다. 물론 긍정적인 면도 많지만, 언어사용이나 나쁜 행동을 배워오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아이에게 욕하는 행동이 잘못된 행동임을 명확히 알려주고, 다시는 반복하지 않도록 교육을 진행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신미선 보육교사입니다.
초등학교 아이가 반에서 욕을 배워와 화가 날 때 욕을 하는 상황입니다. 이럴 때는 먼저 차분하게 대화하면서 욕이 적절하지 않음을 설명하고, 대체 표현을 가르쳐 주세요. 욕을 할 때 일관되게 대응하고, 올바른 표현을 사용할 때는 칭찬하며, 부모가 긍정적인 언어 사용의 모델이 되어야 합니다. 열린 대화를 통해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학교와 협력해 문제를 해결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아이가 긍정적인 언어와 표현 방법을 배울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이럴 경우에는 아이에게 욕이라는건 정말 무섭고 나쁜 부정적인(사람이 사람에게 해서는 안되는 말) 뜻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절대 따라하거나 사용하려는 호기심을 가져서는 안 되고 그렇게 이야기하는 친구에게는 친하게 사용하지 마라고 이야기해 주어야 한다는 걸 확실하게 말씀해 주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