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23.06.28

금융계정과 자본계정은 같은 말인가요??

안녕하세요

금융 계정과 자본 계정은 같은 말 아닌가요?

금융 계정에는 기업의 수익성 및 미래 재무상태가 들어있고,

자본 계정에는 기업의 자본 증감 정보가 있는데...

어떻게보면 둘은 같은 뜻 아닌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자본계정은 과거 기타자본수지 항목에 해당하였던 것으로,

    다시 자본이전(資本移轉)과 비생산·비금융자산으로 구분되며

    자본이전에는 해외 이주비나 채무면제 등이 포함된다. 비생산·비금융자산에는 토지, 지하자원 등

    비생산유형자산과 특허권, 저작권, 상표권 등 비생산무형자산을 취득하거나 처분하기 위한 거래가 포함됩니다.

    금융계정은 직접투자, 증권투자, 파생금융상품, 기타투자, 준비자산으로 구분되며

    직접투자는 경영참여를 통해 지속적인 이익을 취할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대외투자로, 주식구입이나

    자금대여 등의 채무거래가 여기에 속한다. 증권투자는 경영참여에 대한 목적 없이 투자자본의 가치 증가

    또는 이윤획득만을 목적으로 한 대외투자로, 외국과의 주식이나 채권 거래가 해당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거주자와 비(非)거주자의 모든 대외 금융자산 및 부채의 거래변동을 기록하는 것으로, 직접투자, 증권투자, 파생금융상품, 기타 투자 및 준비 자산 등으로 구성된다. 자본계정은 국제수지표의 작성에 있어 자본의 유입과 유출을 계상하는 계정. 자본계정에 있어서 자국 자본의 유출은 자산의 증가, 유입은 자산의 감소이고 외국 자본의 유출은 부채의 감소, 유입은 부채의 증가가 된다. 이때 국제수지표에서 자산증가와 부채감소는 지급으로, 자산감소와 부채증가는 수입으로 계상된다. 국제수지표의 자본 이동에서 1년을 기준으로 1년 이상은 장기자본수지, 1년 이하의 것은 단기자본수지라고 한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융계정은 계좌를 의미하고 자본계정은 기업 대차대조표의 자본항목을 의미합니다.

    기업의 대차대조표는 '자산=부채+자본'의 등식으로 구성됩니다. 금융 계정 내 자산은 자산 계정의 주로 단기자산에 포함되고 자본은 자본항목에 보통주 자본금, 자본잉여금 또는 이익잉여금 등의 계정에 포함됩니다.


  • 안녕하세요.

    금융계정은 국제수지에서 사용되며, 국가 간의 자본 이동을 기록합니다. 금융계정은 외환시장에서의 자산 및 부채의 거래를 추적합니다. 이 계정은 주식, 채권, 외화 예금, 외국 직접투자 등을 포함합니다. 금융계정은 국가의 외부 자본 흐름을 분석하고 국제 경제 상황을 이해하는 데 사용됩니다.

    자본계정은 국제수지의 하위 계정으로서, 국가 간의 자본 이동에 대한 기록을 포함합니다. 이 계정은 주로 자본의 이전, 장기적인 자산의 이동, 기술 이전, 지적 재산권의 이전 등을 추적합니다. 자본계정은 국가의 경제적인 자원 이동과 외부 자본의 흐름을 분석하는 데 사용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셧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