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짓굳은도요73
짓굳은도요7321.10.04

부정맥 관련해서 어떻게 검사해야 하나요?

심장이 빨리 뛰어서 전에 한 번 24시간 심전도 검사를 했는데 당시에는 심장이 빨리 뛸 때 정확히 검사를 할 수 있으니 심장이 빨리 뛸 때 응급실에 가라고 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심장이 빨리 뛸 때 응급실에 갔고, 응급실 의사 분께서 빈맥이고, 쉽게 말해서 신호를 전달하는 통로가 하나 더 있다고 하셨습니다

그후 내원해서 진료를 받았는데 응급실 심전도 검사 결과는 안보고, 전에 했던 검사를 다시 하지고 하시는데 저로써는 검사를 할 때 심장이 빨리 뛸지도 모르고, 응급실에 가라고 해서 갔는데 또 검사를 하라고 하니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네요..그래도 검사를 해야겠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창윤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일반적인 곳이라면 대부분 이전에 심전도 이상이 있었던 것을 모두 다 체크할 것이라고 봅니다.

    응급실 것을 안보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다만, 정확한 확인을 위하여 다시 검사를 하자고 하였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두근거림은 부정맥의 흔한 증상입니다. 부정맥의 원인은 다양한 것들이 있습니다. 우선은 부정맥이 맞는지 확인하기 위해 가까운 내과 방문하셔서 심전도 검사를 해보시기 바랍니다. 24시간 심전도 검사를 하는 경우도 있으니 전문의 상담 받아보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1.10.06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노동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심장관련 증상은 왠만하면 대학병원에서 제대로 검진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가슴이 한번씩 두근두근 거리는 부정맥 증상은 병원을 갔을 때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아 환자도 의사도 답답한 경우가 많습니다.

    때문에 가슴이 두근거리는 이벤트 발생했을 때 바로 최대한 가까운 응급실에 가서 심전도를 찍어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정맥을 진단할 때는 두근거리는 증상이 있을 당시 심전도가 가장 중요한 정보이기 때문입니다.

    이런 방법이 아니고 그냥 대학병원에 간다면, 24시간 홀터라고, 24시간동안 몸에 심전도를 체크하는 장비를 달고 생활하는 검사를 하게 됩니다. 까다롭고 불편하죠, 또 24시간 안에 증상이 안 나타난다면 검사는 했는데 결과는 얻을게 없는 답답한 경우도 굉장히 많이 생깁니다.

    다음번 증상이 생길시, 가까운 응급실로 바로 가셔서 심전도를 찍어 두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중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흉통은 가슴이 조이듯한 통증이 지속되는 양상이며 간혹 팔이나 어깨도 방사통이라 불리는 같은 통증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12전극 심전도 검사로 심장의 이상을 보거나 심근효소수치를 혈액으로 확인할 수 있고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는 부정맥이 동반된경우 24시간홀터모니터검사를 통해 24시간동안의 심장의 전기 신호를 기록해 검사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부정맥을 진단하는 것이 참 쉽지는 않습니다. 가장 정확한 것은 24시간 검사인데 증상이 없을 때는 정상으로 나오지요. 응급실 검사는 아마 참고하셨을 겁니다. 확인을 위해 재검사를 하자는 것일 겁니다. 중요한 것은 빈맥이 있어도 증상이 저절로 좋아지고 자주 나타나지 않는 경우라면 대부분 치료는 필요하지 않다는 점입니다.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다시 검사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부정맥이 의심되는 증상이 있는 경우 가능한 빨리 병원을 방문하여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증상이 있을 때 그 증상과 심장의 전기적 신호의 이상이 관련성을 갖는지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는 대체로 증상이 나타날 때의 심전도를 통해 확인합니다. 이외에도 부정맥의 진단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검사 방법을 사용합니다.

    - 24시간 심전도 검사
    -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
    - 기립경사대 검사
    - 심초음파
    - 전기생리학적 검사
    - 이식형 사건 기록기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옥영빈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상심실성 빈맥 증상이 있으신 것 같습니다. 응급실 기록만으로는 치료 방향을 정확하게 세우기 어렵기 때문에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할 것입니다. 잘 납득이 되지 않으실 수 있지만 검사를 다시 받으시는 것을 권고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