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다른 나라의 제품에 관세를 과하게 메기게 되면 국가 정세는 어떻게 되나요?
현재 미국에서 관세를 많이 부과하는 정책을 펼치고 있습니다.
이런 정책으로 인해서 국가 정책이 어떻게 바뀌는지 궁금합니다.
특히나 중국과 미국과의 관계가 어떻게 변화할지가 궁금해집니다.
물론 우리나라도 이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을 것 같은데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미국이 다른 나라에 대해 높은 관세를 부과하는 정책은 미국으로 수출하는 많은 국가들의 수출경쟁력을 약화시키고 미국의 입장에서는 무역수지의 개선이나 미국 내 투자를 확대하는 등의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전세계적으로는 경제성장 둔화가 유발되고, 장기적으로는 전세계에서의 일자리 감소와 비용증가 현상이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중국과 미국은 기술패권경쟁이 한창인데 관세부과정책에 따른 긴장 심화에 따라 글로벌 공급망이 재편되고 수많은 국가들의 경제적 부담으로 다가올 수 있다고 보여집니다.
감사합니다.
- 답변이 마음에 들었다면?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미국이 수입품에 높은 관세를 부과하면, 수입품 가격 상승으로 인해 미국 내 소비자 물가가 상승하고, 기업들의 생산 비용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는 미국 경제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무역 상대국들의 보복 관세로 인해 미국의 수출 산업도 타격을 받을 수 있습니다.
미국이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인상하면, 중국은 이에 대응하여 미국산 제품에 보복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리고 한국은 중국, 미국에 가장 많은 물품을 수출하고 있으며 두 나라에 대한 무역의존도가 약 50% 내외라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미국의 경기둔화, 중국의 수출부진은 우리나라 제품의 수출에도 영향을 끼칠 수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우리나라입장에서는 어떻게 되든 좋지 않는 상황이라고 판단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미국의 고율 관세 정책은 국제 무역 질서에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특히 중국과의 관계에서 무역 전쟁이 격화되어 양국 간 긴장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이는 글로벌 공급망에 영향을 미쳐 다른 국가들의 경제에도 파급효과를 일으키고 있습니다. 미국 내에서도 소비자 물가 상승과 기업들의 생산 비용 증가로 인한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한국 경제도 이러한 미국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한국 기업들의 주요 생산기지인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관세 부과로 수출 경쟁력이 약화될 수 있으며, 중국에 대한 관세는 한국의 중간재 공급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한국의 수출이 감소하고 GDP가 하락할 가능성이 있어, 새로운 무역 전략 수립이 필요한 상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