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탁월한태양새285
탁월한태양새28523.04.30

모내기법이 언제부터 시작 되었을까요?

한국사에 있어서 모내기법이 언제쯤부터 시작 되었을까요?

모내기법을 보급 할 당시에 국가의 상황은 어떠했는지 알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4.30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벼농사의 한 방법으로, 볍씨를 논에 바로 뿌리지 않고 모판이라는 상자에 먼저 뿌려 모(싹)를 키운 후 논에 옮겨 심는 방법이다. 이렇게 하면 모를 논에 규칙적으로 뿌릴 수 있어 수확량이 늘어나고, 잡초의 양이 줄어들어 노동력이 절감된다. 또한 모내기를 하기 전까지는 논이 비어 있어 여기에 다른 작물을 심어 1년 2작이 가능해진다. 반면 농업용수가 많이 필요해 모내기철에 가뭄이 들면 1년 농사를 모두 포기해야 하는 경우도 있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조선 전기부터 남부 지방에 도입되었는데, 농업용수 부족을 우려한 정부의 금지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확산되었다. 조선 후기에는 전국에서 성행하게 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모내기법 (Basic 중학생을 위한 국사 용어사전, 2006. 11. 15., 이은석)


  • 모내기는 고려 말에 강원도와 경상도 일부 지역에 보급되었습니다.

    모내기는 볍씨를 논에 직접 뿌리지 않고 모판에 길러서 옮겨 심는 혁신적인 재배법입니다. 잡초를 제거하는 김매기가 쉬어 노동력을 크게 절감해 주며 모내기를 하기 전까지 봄보리를 심어 1년에 두 번 농사를 지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모내기를 위해서는 충분한 물이 필요했으므로 수리시설이 미흡했던 당시에는 위험한 재배법으로 인식되어 조선 중기까지 금지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말 남부 일부 지방에서 이앙법(모내기법)이 보급됩니다.

    고려말은 권문세족 집권기인 원 간섭기로 불교가 타락하고 대농장 소유, 토지 겸병으로 대다수 농민이 몰락한 사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