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사와 전기산업기사의 난이도 차이는?
전기에는 전기기사와 전기산업기사가 있는데 두 자격증 사이의 난이도는 어느 정도 수준이나요? 얼마나 공부하면 산업기사에서 기사로 승급가능하나요?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입니다.
전기기사는 전기의 이론과 실무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요구하며, 전기산업기사는 상대적으로 기본적인 지식에 중점을 둡니다. 두 자격증 모두 기본적인 전기 지식이 필요하지만, 전기기사는 보다 심화된 내용을 다룹니다. 일반적으로 전기산업기사를 취득 후 약 6개월에서 1년 정도의 추가 공부를 통해 전기기사를 준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개인의 학습 속도와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본인의 상황에 맞게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환 전기기사입니다.
전기 관련 자격증이 기사와 산업기사로 나뉘어져 있긴 합니다만,
최근의 경향들을 보면 과목수의 차이일 뿐 실제 실기 시험은 그리 큰 차이가 없다고 생각이 되어 집니다.
실제 산업기사 문제들이 기사문제에 출제가 되고,
기사 문제들이 산업기사에 출제가 되서 체감 난이도는 그리 클것 같지는 않습니다.
필기 과목만 잘 대처를 하신다면 실기 시험까지 무난하게 합격선에 들지 않을까 합니다.
이왕 시작하시는거 기사 시험 난이도를 위주로 준비해 보심이 좋을 것 같다는 의견을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박호철 전기기사입니다.
전기기사와 전기산업기사 2개다 보유중입니다. 2개 난이도는 전기기사가 대략 1.2배 더 어렵고 전기산업기사가 어렵게 나오면 전기기사 보다 어렵게 나오는 회차가 있긴 합니다. 공부하다 보면 난이도는 비슷하게 느껴 질거 입니다.
안녕하세요. 유순혁 전기기사입니다.
두 시험의 난이도는 크게 나지 않습니다. 전기 학원 및 강의를 보시면 전기기사(산업기사) 이런 식으로 교재가 동일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즉, 같은 교재로 공부해도 괜찮을 정도로 난이도 차이가 별로 없다는 뜻 입니다.
산업기사를 따신 분들은 한두달만 공부하시면 쉽게 기사를 따실 수 있을 정도 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희 전기기사입니다.
산업기사는 초대졸도 응시가 가능하지만
기사는 관련전공자가 4년제대학을 다녀야민
응시가 가능합니다. 또한 산업기사 득힌후 일정한 기간의 경력 취득후 시험을 통해서 기사시험을 치를수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기기능사입니다.
전기자격증은 전기기능사 -> 전기산업기사 -> 전기기사 -> 전기기능장 -> 전기기술사로 구분되는데요.
전기기사가 난이도가 높다고 하는데 실제로 현장에서 시험보는 분들은 두 자격증의 난이도 차이가 없다고 해요.
전기산업기사 시험이 더 어렵게 나오는 경우도 많거든요.
전기산업기사 + 실무경력2년 이상 이면 전기기사 자격조건이 충족되어 시험 볼 수 있어요.
전기기사와 전기산업기사 필기시험 문제는 100문제로 제어공학 한과목 차이가 있어요.
전기기사과목 : 전기자기학, 전력공학, 전기기기,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전기설비기술기준.
전기산업기사과목 : 전기자기학, 전력공학, 전기기기, 회로이론, 전기설비기술기준.
안녕하세요. 전기관련 기사 자격증 2개 보유자입니다. 전기기사와 전기산업기사는 난이도 차이가 조금 있습니다. 전기산업기사는 기초적인 문제 거기에 심화문제들이 포함되면 전기기사 시험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