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궁금한질문쟁이
궁금한질문쟁이23.08.16

더닝 크루거 효과는 무엇인가요?

더닝 크루거 효과 Dunning Kruger Effect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경제학적으로 더닝 크루거 효과가 사용되는

사례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더닝 크루거 효과(Dunning–Kruger effect)는 인지 편향의 하나로, 능력이 없는 사람이 잘못된 판단을 내려 잘못된 결론에 도달하지만, 능력이 없기 때문에 자신의 실수를 알아차리지 못하는 현상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정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심리학자 더닝과 크루거가 제창한 것으로, 자신의 현실을 모르고

    확증편향에 빠져 오판하거나 나대는 것을 의미합니다.

    깜냥을 모르고 자신을 과대평가한 나머지 실수를 저지르는 것으로,

    명문대생이 자신이 정말 똘똘한 줄 알고 나대다가 잦은 실수를 하는 것과 같습니다.

    경제학에서는 '매몰비용의 효과' 정도로 볼 수 있겠고, 주로 한 때 잘 나갔거나

    잘 나가고자하는 나라가 오판을 하여 경제위기에 빠지는 경우에

    적용해볼 수 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더닝 크루거 효과라고 하는건 능력이 없는 이가 잘못된 결정을 내려서 잘못된 결과가 나타나게 되더라도 본인 스스로의 능력 부족을 깨닫지 못하는 것을 말해요.

    사실 이러한 더닝크루거 효과는 인터넷 사이트에서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이들이 경제 예측을 하거나 혹은 경기의 정도를 판단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제예측이 어긋나게 되었음에도 본인 스스로가 능력이 부족하다는 것은 인지하지 못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더닝 크루거 효과(Dunning–Kruger effect)는 인지 편향의 하나로, 능력이 없는 사람이 잘못된 판단을 내려 잘못된 결론에 도달하지만, 능력이 없기 때문에 자신의 실수를 알아차리지 못하며 능력이 우수한 사람이 자신의 능력을 과소 평가하며 오히려 잘못된 판단을 한다는 현상 입니다. 예를 들어, 수박 겉핥기 식으로 알고 있는 작은 지식을 마치 엄청나게 많이 알고 있는 사람이 잘난체를 하거나 유세를 떠는 상황에서도 사용 가능 하겠지요. 우리말에도 "벼는 익을수록 고개를 숙인다."
    "빈 수레가 요란하다." 등의 속담이 이러한 효과를 대표하는 말 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몰라서 저도 찾아보니 더닝 크루거 효과는 능력이 없는 사람이 잘못된 결정을 내려 부정적인 결과가 나타나도, 능력이 없어 스스로의 오류를 알지 못하는 현상을 말하네요

    간단하게 주변에 무식한데 자신이 무식한줄 모르는 사람을 말하는거 같습니당!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더닝-크루거 효과(Dunning-Kruger Effect)는 심리학 용어로 자신의 능력을 과대평가하는 현상, 자신의 능력을 과소평가하는 현상으로 능력이 부족한 사람들이 자신의 능력을 과대평가하고, 반대로 능력이 높은 사람들이 자신의 능력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을 의미합니다

    초보 투자자나 트레이더가 자신의 지식 부족을 감지하지 못하고 높은 수익을 기대하며 대담한 행동을 취할 때 더닝-크루거 효과가 작용할 수 있고 그 결과는 큰 손실을 입을 것입니다. 또한 경제 예측은 복잡하고 불확실한 일이지만, 더닝-크루거 효과로 인해 경제 지식이 부족한 사람들이 자신의 경제 예측을 지나치게 확신하며 부정확한 예측을 하게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능력이 없는 사람이 잘못된 결정을 내려 부정적인 결과가 나타나도, 능력이 없어 스스로의 오류를 알지 못하는 현상을 말한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학적으로 더닝 크루거 효과는 개인이 자신의 경제적 지식과 능력을 과대평가하여 잘못된 경제적 판단을 내릴 수 있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때로 경제적인 결정이나 투자에 영향을 미쳐 잘못된 선택을 하거나 손해를 입을 수 있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현상을 인지하고 실질적인 경제적 지식과 판단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더닝 크루거 효과는 능력이 없는 사람이 잘못된 결정을 내려 부정적인 결과가 나타나도, 능력이 없어 스스로의 오류를 알지 못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더닝 크루거 효과는 능력이 낮은 사람들이 자신의 능력을 과대평가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설명합니다. 즉, 능력이 부족한 사람들은 자신의 능력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자신감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반대로, 능력이 높은 사람들은 자신의 능력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가장 일반적인 사례는 운전으로 능력이 부족한 운전자들은 자신의 운전 실력을 과대평가하고, 자신이 안전 운전을 잘 한다고 여기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교통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