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전세계를 상대로 관세 부과를 하는데 미국에는 좋은 점만 있는건가요?
미국이 전세계에 상호관세 부과를 확정했네요. 미국 증시도 엄청 빠지고 있는데 관세를 부과하는것이 미국에 장기적으로 좋은건가요? 단점은 없는지도 궁금하네요.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미국에는 좋은일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결국 관세부과는 미국 내 수입자에게 관세가 전가되기 때문에 관세가 높아짐에 따라 수입물가가 상승하고, 미국 내 소비가 줄어들고, 글로벌적인 경기침체 등의 상황이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상대국의 관세 보복조치에 의해 미국의 수출자도 수출경쟁력 약화 등 피해를 입을 가능성도 높아지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미국이 상호관세를 부과하는 것은 단기적으로는 자국 산업 보호와 해외 기업에 대한 협상력 강화를 통해 이익을 볼 수 있는 전략입니다. 특히 제조업 일자리 회복이나 무역 적자 개선을 목표로 내세우며 정치적인 지지층 결집에도 효과가 있습니다. 일부 산업에서는 수입 대체 효과로 자국 기업에 호재가 되기도 하지만, 이는 제한적이고 단기적인 이점에 그칠 가능성이 큽니다.
장기적으로는 관세가 소비자 물가 상승을 유발하고, 기업의 원가 부담을 가중시켜 생산성과 경쟁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보복관세가 이어지면 미국 제품의 수출도 줄어들게 되어 글로벌 공급망 혼란과 함께 자국 경제에도 역풍이 불 수 있습니다. 현재처럼 증시가 민감하게 반응하는 이유도 이러한 불확실성과 장기적인 경기 위축 우려 때문이며, 실제로 글로벌 무역 질서에 대한 신뢰 훼손이 미국에게도 부메랑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미국의 전면적 관세 부과는 국내 산업 보호와 재정 수입 확대를 목표로 하지만 경제적 부작용도 상당합니다. 단기적으로 관세로 인한 소비자 물가 상승이 가계 구매력을 약화시키며, 평균 가구당 3,800달러의 구매력 손실이 예상됩니다. 자동차철강 등 주요 수입품 가격 급등은 인플레이션을 악화시켜 금리 인상 압력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저소득층은 연간 1,700달러의 추가 부담을 지며 소비 위축이 가속화됩니다.
장기적으로는 미국 경제 성장률이 0.9%포인트 하락하고, 실질 GDP가 영구적으로 0.6% 감소할 전망입니다. 글로벌 공급망 재편 속도가 느려지면서 제조업 생산성 저하가 불가피하며, 자동차기계 부문의 해외 수출 18% 감소로 경상수지 악화가 우려됩니다. 관세 수입 증가로 재정 적자는 일시적으로 개선되나, 기업의 투자 위축과 고용 감소가 성장 동력을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미국이 최근 전 세계를 대상으로 '상호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한 것은 국내 산업 보호와 무역 불균형 해소를 목표로 한 조치입니다. 이러한 관세 정책이 미국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이 모두 존재합니다.
긍정적으로는, 관세 부과를 통해 해외 제품의 가격이 상승하면 국내 소비자들이 국산 제품을 선호하게 되어 국내 제조업이 활성화될 수 있습니다. 이는 일자리 창출과 경제 성장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또한, 관세로 인한 추가 세수는 정부 재정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부정적인 측면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수입 제품의 가격 상승은 소비자 물가를 전반적으로 높여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소비자들의 구매력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무역 상대국들이 보복 관세를 부과할 경우 미국의 수출 산업이 타격을 받을 수 있으며, 이는 글로벌 무역 긴장을 고조시킬 위험이 있습니다. 실제로, 관세 발표 이후 미국 증시가 하락하는 등 시장의 우려가 나타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