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양육·훈육

이지로운블루밍618
이지로운블루밍618

자녀와 잘 소통하는 부모가 되려면 어떤점들을 신경써주면 좋을까요?

부모로써 아이에게 언제나 힘이 되고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주고 싶은게 부모들 마음입니다.

아이가 커갈수록 대화는 없어지고 자연스럽게 소통도 줄어듭니다.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고 아이와 올바르게 소통을 잘하려면 어떤점들을 신경쓰는게 좋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

    평소에 아이와 사소한 일상생활이라도 자주 대화를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무엇을 좋아하는지, 어떤 것에 관심이 있는지를 관심있게 살펴보고 아이의 관심있는 부분에 대하여 열린마음으로 소통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들은 부모님께서 일방적인 대화가 아닌 아이의 생각과 의견을 들어주고 존중하고 이해하고 공감해준다는 것을 느끼게 되면 자연스럽게 대화하는 시간도 많이 늘고 원활한 소통을 할수 있다고 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부모와 자녀의 소통이 점차 줄어드는 것은 많은 가정에서 자연스럽게 겪는 일입니다. 그러나 아이와 긍정적이고 꾸준한 소통을 유지하기 위해 몇 가지를 신경 쓰면, 아이가 성장하면서도 마음을 열고 대화를 지속할 가능성이 커집니다. 우선, 일상 속에서 아이의 말에 귀를 기울이고 진심으로 관심을 기울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하는 말이나 생각을 진지하게 들어주는 부모의 태도는 아이가 자신을 존중받고 있다고 느끼게 해 주며, 부모와 대화를 이어갈 수 있도록 돕습니다. 또한, 부드럽고 이해심 있는 태도를 가지면서 아이의 의견을 비판하거나 지적하기보다는 공감하고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두 번째로, 규칙적인 대화의 시간을 마련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식사 시간이나 잠들기 전 등 하루 중 특정 시간을 대화 시간으로 정하고, 그 시간 동안 서로의 하루를 이야기하는 습관을 만들어 보세요. 이런 시간을 통해 아이는 자신이 부모와 마음을 나누는 것을 일상적인 일로 받아들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와 소통를 하기 위해서는 아이의 관심사가 무엇인지 먼저 파악을 하고 아이의 관심사를 통해서 대화적 소통을 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또한 아이의 기분을 살피고,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아이의 감정을 돌보면서 대화적 소통을 이어나가는 것도 좋겠습니다.

    무엇보다도 나 대화법 보단 너 대화법으로 대화를 나누는 것이 좋은데요.

    즉, 부모님의 권위적인 대화법 보다는 아이의 이야기를 귀 기울여 들어 줄 자세와 너의 감정을 충분히 공감할 자세가 되어 있다 라는 것을 보여주면서 아이의 마음을 이해하는 너 대화법이 아이와 소통함에 있어서 가장 좋은 방법이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들이 커갈수록 부모와 대화가 없는 이유는 일방적인 부모님의 생각을 아이에게 말하기 때문이죠

    일명 엄마 아빠랑은 대화가 안 돼요 이런 것 입니다

    아이의 말에 대해 듣지 않고 공감하지 않는 다면 아이도 부모님과 이야기 해봤지 답답하기만 할 뿐

    해결 되지 않기 때문이죠

    아이의 문제를 해결 한다 보다 아이의 말을 잘 들어 주고 공감하는 것이 더 중요 할수도 있습니다

    아이들도 스스로 문제 해결 능력은 있습니다

    자기의 편을 들어 주고 마음을 알아 주는 것이 필요 할수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감정을 비난하거나 판단하지 않고 공감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이의 감정을 그대로 인정하고 그 이유에 대해 대화를 이어가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자녀와 잘 소통하는 부모가 되기 위해서는 경청과 공감이 중요합니다. 자녀가 말할때 눈을 맞추고 진심으로 들어주는 태도를 보이세요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자녀와 잘 소통하는 부모님이 되기 위해서는 부모님과 시간을 많이 보내주셔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아이들에게 관심을 많이 보여주시면서 아이들의 관심사를 캐치해주셔야 된다고 생각을 합니다. 이는 우리 아이들을 위해서 필수적인거라고 생각을 하기에 참고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부모님이 관심과 부지런함으로 아이가 잘 자란다고 하니 참고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일단 아이와 잘 소통하는 부모가 되기 위해서는 먼저 아이가 이야기할 때 적극적으로 경청해 주세요. 눈을 맞추고, 고개를 끄덕이며 관심을 표명함으로써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격려합니다. "오늘 어땠어?"와 같은 일반적인 질문 대신 "오늘 학교에서 제일 재미있었던 일은 뭐였어?"와 같은 구체적인 질문을 통해 대화를 유도합니다. 가족이 함께하는 시간을 정기적으로 만들어 아이와의 소통을 늘려보세요.

    음.. 보통 예를 들어, 저녁 식사나 주말 활동 등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아이가 관심 있어 하는 주제에 대해 대화해 보세요. 아이가 좋아하는 책, 게임, 친구에 대해 이야기하면 더 자연스럽게 소통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해보세요. “오늘은 조금 힘들었어” 같은 이야기로 아이가 감정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일상적인 활동 중에도 소통을 시도해 보세요. 장을 보거나 요리를 할 때, 또는 산책하면서 대화하는 것처럼

    대부분 자연스럽게 대화를 나눌 수 있는 기회를 만듭니다. 아이의 의견이나 감정을 존중하고, 비판보다는 지지적인 태도를 유지하세요. 아이가 실수했을 때도 이해하고 격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때로는 메시지나 소셜 미디어를 통해 소통하는 것도 좋습니다. 아이가 편하게 느끼는 방법을 활용해 소통할 수 있습니다.

    이런 점들을 신경 쓰면서 소통을 강화하면 아이와의 관계가 더욱 깊어질 수 있습니다.

    무엇이든지 지속적으로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니, 시간이 걸리더라도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날 것입니다!

    부모님께서는 인내심을 가지고 아이를 지도해주셔서 아이와 소통이 잘 되는 관계를 만들어보세요~

    제가 드린 답변이 아이를 양육하시는데에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겠습니다 : )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의 말에 끝까지 들어 주고 공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기적인 가족 모임을 통해서 대화하는 시간을 가집니다.

    비난하는 자세보다는 긍정적인 언어를 통해서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도록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수진 유치원 교사입니다.

    자와 소통하는 일은 꾸준한 노력과 인내가 필요합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부모가 아이의 안전한 울타리가 되어주는 것입니다. 소통을 통해 아이가 언제나 부모에게 의지할 수 있고,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표현해도 괜찮다는 믿음을 심어주세요.

  •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감정과 생각을 경청하세요. 아이가 이야기할때 방해하지 말고 끝까지 들어주세요. 조언보다는 공감의 말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눈을 맞추거나 미소 짓는 등 몸짓으로도 관심을 표현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