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성형외과 이미지
성형외과의료상담
성형외과 이미지
성형외과의료상담
신통한나팔새272
신통한나팔새27222.03.09

흰머리가 부분적으로 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

나이
35
성별
여성
복용중인 약
없음
기저질환
없음

최근들어 흰머리가 많이 나오고 있는데요.

정수리 부분이라던지 가르마쪽에서도 조그만하게 한부분만 흰머리가 나오고 있더라고요.

전체적으로 나지 않고 이렇게 부분적으로 나오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머리카락이 검은 이유는 해당 부위의 색소 세포에서 색소를 분비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나이가 들면서 색소 세포가 기능이 떨어지거나 노화되면 더 이상 색소를 만들어 내지 못할 경우 해당 부위에 흰 머리가 나게 됩니다.


  • 흰머리, 즉 새치는 노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자연스런 현상입니다. 처음부터 갑가지 모든 머리가 희색으로 변하지 않고 어쩌다 한 가닥식 하얗게 변해가는 것이 새치가 발생하는 자연 경과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아래는 흰머리의 원인에 대한 글을 정리해놓은 것입니다.

    멜라닌 세포가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게 되면 부분적으로 흰머리가 나게 됩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흰머리는 모발을 만드는 모낭에서 멜라닌 세포가 고장나면 생긴다. 노화 등 다양한 원인이 있는데 그중 하나가 스트레스다. 스트레스로 발생하는 호르몬 등의 영향으로 세포가 고장나면서 색소가 부족해진 머리카락이 자라게 된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3.10

    안녕하세요. 안중구 소아과의사입니다.

    흰머리는 모근의 색소를 만드는 세포에서 더이상 충분히 세포를 만들지 않는 경우에 생기게 됩니다. 뽑으면 두가닥으로 자란다 이런것은 근거가 없으며 스트레스 이외에 다른 전신적인 질환을 암시하지 않는것이 대부분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

    특별히 질병적인 이유는 없습니다. 두피의 모낭을 구성하는 세포에 멜라닌 세포가 많은데, 노화가 되면서 이런 기능이 떨어지는 것입니다. 모낭의 멜라닌 세포가 파괴되면 검은색 색소가 사라지면서 흰머리가 나게 됩니다. 정상적인 노화과정이고, 유전적으로 좀 젊은 나이부터 흰머리가 많이 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드문드문 나는 흰머리라면 스트레스가 원인일 확률이 크며, 흰머리는 머리카락을 만드는 기관인 모낭 속에서

    멜라닌 색소를 만드는 세포가 고장나 발생합니다. 나이가 들면 노화 탓에 이 세포의 기능이 감소하고 젊어도

    스트레스를 많이 받아서 몸속에 활성산소가 많아지면 이 활성산소가 색소 세포 기능을 저하시키며, 과도한

    다이어트 때문에 몸속 영양이 불균형해져도 모낭까지 영양이 잘 공급되지 않아 흰머리가 날 수 있습니다.

    흰머리가 유독 많이 난다면 흰머리를 유발하는 유전자를 갖고 있을 가능성이 크며, 흰머리를 나게 하는 유전자는

    그렇지 않은 유전자에 비해 우성이기 때문에 부모 중 한 명이라도 흰머리가 빨리 나기 시작했다면 자식도 탈모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드물지만 갑상선질환, 백반증 같은 질환 때문에 흰머리가 나는 경우도 있으며, 특히 흰머리가 한 군데 모여 나면

    백반증일 확률이 비교적 높은데, 백반증은 피부색을 결정하는 멜라닌 색소가 파괴된 자리에 흰 반점이 생기는

    질환으로, 10~30대에 가장 많이 발생하여, 얼굴과 손발을 비롯한 모든 신체 부위에서 생길 수 있습니다.

    백반증이 모근에서 시작되면 모낭 속 멜라닌 세포가 파괴돼 머리카락이나 눈썹·속눈썹 등이 하얗게 변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노화의 과정입니다. 특별히 질병의 상태라고 보기는 힘듭니다..

    세포가 노화를 일으켜서 그렇습니다..

    아직까지 흰머리는 치료할 방법이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흰머리는 노화의 결과입니다. 나이가 들면서 늘어나지요. 물론 유전적으로 젊은 나이부터 흰 머리가 많이 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국소적으로 흰머리가 나는 것은 특별한 문제나 이유가 있어서는 아니랍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우리 머리카락이 검정색인 이유는 멜라닌색소 때문입니다. 흰머리는 모낭속의 멜라닌색소를 만들어내는 세포 숫자가 줄어들면서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세포 숫자가 특정 부위에 먼저 줄어들어서 그 부위만 흰머리가 나는거죠.

    우리 몸의 기능은 만 20세 정도를 기점으로 천천히 노화의 단계를 밟습니다. 더 이상 성장하지 않고 늙어가는거죠.

    35세의 나이에 흰머리가 조금씩 나는 경우는 정상적인 과정입니다.

    20세 이전에 흰머리가 나면 혹시나 다른 질환에 동반된 흰머리가 아닐가 걱정하겠지만 작성자분은 해당하지 않는걸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조인영 의사입니다.

    새치는 노화 현상의 하나로 조기 백발은 유전적인 요인이 가장 크지만 호르몬, 두피의 혈액순환장애, 모발 색소 감소 질환, 갑상선질환, 당뇨병, 스트레스 등이 새치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멜라민 색소의 생성 감소가 직접적인 요인입니다.

    옆머리에서 시작해서 앞머리, 뒷머리로 진행하며 혈관분포가 약한 부위에 주로 발생 하게 됩니다.

    두피 마사지가 도움이 되며, 샴푸와 린스시 잘 씻어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외선 을 차단 하는 것이 좋습니다. 흰머리를 뽑는다고 해도 그 부위에 지속적으로 흰 머리가 나게 됩니다. 염색을 하는 것 외에 치료 방법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