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슬거운호돌이109
슬거운호돌이109
24.03.24

빛의 세기에 따라 반사, 투과되는 빛의 색깔이 달라지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사과는 평소에 붉은색을 제외한 다른 빛을 흡수하고 붉은색 빛만을 반사하기 때문에 붉게 보인다고 배웠는데요. 그런 사과에도 손전등으로 강한 백색광을 비추면, 손전등 빛이 닿은 지점은 붉은색이 아닌 밝은 흰색으로 빛납니다. 그리고 색깔이 있는 셀로판테이프의 위에 아주 밝은 손전등을 비추면, 테이프를 투과한 빛도 거의 흰색으로 보입니다. 물체에 강한 빛이 닿아 반사되거나 투과하는 부분은 왜 물체 원래의 색이 아닌 흰색으로 보이는 건가요? 원리를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질문에 대한 답변을 달아주세요. 같은 질문을 올렸었는데 질문과 별 연관이 없는 상투적인 답변이 달려 다시 올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유택상 전문가
    유택상 전문가
    서울교통공사 검수팀
    25.04.06
    학문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물체가 특정 색으로 보이는 것은 주로 그 물체가 받는 빛의 스펙트럼에 의해 결정됩니다. 사과가 붉은색으로 보이는 것은 주위 빛에서 붉은색 성분만을 반사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매우 밝은 백색광, 즉 모든 색의 빛이 포함된 강한 빛을 비추면 물체 표면에서의 반사나 투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강한 빛은 물체 표면의 산란과 반사가 증가시켜 백색광의 다양한 파장이 거의 그대로 반사되거나 투과되게 하여 원래의 색이 아닌 밝은 흰색으로 보이게 합니다. 이런 이유로 강한 빛을 비췄을 때 물체 표면이 밝은 흰색으로 빛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강한 빛이 물체에 닿으면 표면에서의 난반산가 증가하고 물체가 흡수할 수 있는 빛의 양의 포화 상태에 도달하여 일부 흡수되던 파장까지 반사되거나 투과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모든 가시광선이 섞이면서 백색광의 성질을 띠게 되므로, 원래의 색보다 더 밝고 흰색에 가까운 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특히 셀로판테이프처럼 반투명한 물질에서는 내부에서 다중 산란이 발생해 특정 파장만 선택적으로 보이는 효과가 줄어들어 흰색 빛이 더 강하게 나타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5.01.12

    안녕하세요. 아하의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사과가 붉게 보이는 것은 주로 저강도의 자연광 아래에서 발생하는 일입니다. 이때 사과는 붉은 빛을 반사하고 다른 색은 흡수해서 붉게 보입니다. 그러나 손전등 같이 강한 백색광을 사용할 경우, 빛의 강도 때문에 효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강한 빛이 닿으면 물체에 의해 반사 혹은 투과되는 광량이 매우 증가해 눈이 받아들이는 빛의 강도가 과포화 상태가 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색깔을 구분하는 세포들이 특정 색을 구별하지 못하고, 빛의 모든 파장이 섞인 백색으로 인식될 수 있습니다. 셀로판테이프의 경우도 비슷한 원리로, 다층의 색깔이 있는 물품이 강한 빛을 받을 때 그 빛의 많은 부분이 투과되고, 여러 색의 조합으로 인해 결과적으로 백색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이런 현상은 강한 빛이 모든 색을 반사하거나 투과시키는 성질 때문입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추가적인 궁금증이 있으시다면 언제든지 질문해 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사과가 붉게 보이는 이유는 붉은색 빛을 제외한 다른

    빛을 흡수하고 붉은색 빛만 반사하기 때문입니다.

    손전등과 같은 강한 백색광을

    비추면 붉은색 빛뿐 아니라

    다른 색 빛도 함께 반사되어 흰색으로 보입니다.

    빛이 물체에 도달하여 다시 튀어나오는 현상입니다.

    물체의 색은 흡수하지 않고 반사하는

    빛의 파장에 따라 결정됩니다.

    빛이 물체를 통과하는 현상입니다.

    투명한 물체는 모든 빛을 투과색이 있는 물체는

    특정 파장의 빛만 투과하고 나머지는

    흡수합니다.

    강한 빛은 물체의 모든 색 빛을 흡수하지

    않고 모두 반사하거나 투과시킵니다.

    우리 눈에는 흰색으로 보입니다.

    강한 백색광을 비추면 붉은색 빛뿐 아니라 다른 색 빛도

    함께 반사되어 흰색으로 보입니다.

    아주 밝은 손전등을 비추면 테이프를 투과하는 빛은 모든 색

    빛이 포함되어 흰색으로 보입니다.

    물체가 강한 빛에 비추면 흰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강한

    빛이 물체의 모든 색 빛을 반사하거나 투과시키기 때문입니다.

    물체의 원래 색보다는 빛의 강도가 더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빛은 파장에 따라 다양한 색으로 보입니다

    여러 색 빛

    이 혼합되면 새로운 색이 만들어집니다.

    백색광은 모든 색 빛이 혼합된 빛입니다.

    답변이 마음

    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사과가 붉게 보이는 이유는 빛의 색깔을 흡수하고 반사하는 물질인 색소의 존재 때문입니다. 사과는 붉은색을 제외한 다른 색깔의 빛을 흡수하고 붉은색만을 반사하기 때문에 붉게 보이는 것입니다.

    하지만 손전등과 같은 강한 백색광을 비추면 사과의 표면에 닿은 빛이 매우 강해서 색소가 모든 색깔의 빛을 흡수하지 못하고 반사하게 됩니다. 그래서 사과의 표면은 붉은색 뿐만 아니라 다른 색깔의 빛도 반사하게 되어 밝은 흰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셀로판테이프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투과되는 빛의 색깔은 빛의 세기에 따라 달라지는데 아주 밝은 손전등을 비추면 색소가 모든 색깔의 빛을 흡수하지 못하고 반사하게 되어 투과되는 빛도 밝은 흰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따라서 물체에 강한 빛이 닿아 반사되거나 투과하는 부분은 물체 원래의 색이 아닌 흰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이는 빛의 세기에 따라 반사 투과되는 빛의 색깔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일상에서 보는 물체의 색깔은 빛의 색깔을 흡수하고 반사하는 물질의 색소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빛의 세기에 따라 색깔이 달라지는 것을 자주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빛의 성질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은 여러 가지 색깔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빛은 파장을 가지고 있으며, 파장의 크기에 따라 색을 가질 수 있습니다. 색깔은 물체가 빛을 반사하느냐 굴절하느냐에 따라 다릅니다.

    반사: 빛이 튕겨져 나가는 현상입니다. 물체가 빛을 반사하면 그 빛은 해당 물체의 색깔을 가지게 됩니다.

    흡수: 빛이 물체에 흡수되는 현상입니다. 어떤 물체가 빛을 모두 흡수한다면 색깔이 합쳐보이니까 검게 보이는 것이고, 어떤 물체가 빛을 모두 반사한다면 그 물체는 흰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결론적으로 물체마다 빛의 반사, 굴절율이 달라 색깔이 보이는 것입니다. 빛은 여러 가지 현상을 통해 우리가 물체의 형태, 질감, 색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해 줍줍ㄷ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