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증시의 본격적인 반등이 시작인걸까요?
국내증시가 2025년 들어와서 꾸준하게 상승을 하고 있습니다.
오늘도 2500을 돌파했다가 장막판 2492까지 하락하긴했으나 국내증시의 본격적인 반등이 시작인걸까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작은 반등이긴 하지만 연초의 긍정적인 흐름은 확실히 의미가 있습니다.
그 이유는 연초에 흐름이 해당 연도 전체의 흐름을 결정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미 코스피는 저가 상황이기 때문에 외국인과 기관의 저가매수세가 유입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원화가 많이 떨어지고 주가가 떨어지면 당연히 그것을 매수하는 사람이 생깁니다 만약에 삼성전자가 만 원이라면 안 살 사람이 있을까요 그리고 현 정국을 희망적으로 바라보고 있는 사람들이 많이 생겨나고 있습니다 당연히 지금 사야지요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단 국내 증시가 2025년 들어와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나 이는 다양한 요인들에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아직 본격적으로 반등이 시작되었다고 말하기 어렵습니다.
일단 정치적 불안정의 해소도 필요하며 트럼프 정부의 집권도 아직 남았습니다.
좀더 글로벌 경기 상황이나 시장 흐름을 지켜볼 필요성이 있다고 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2025년 국내 증시는 상반기 약세를 보인 후 하반기에 반등하는 '상저하고의 흐름이 예상됩니다. 증권사들은 코스피 지수의 변동 범위를 2,250에서 3,200 사이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상반기에는 경기 침체와 기업 실적 둔화, 정치적 불안 등으로 인해 증시가 부진할 수 있습니다. 특히, 미국의 무역 정책 변화와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이 시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하반기에는 이러한 악재들이 이미 시장에 반영되어 주가가 저평가된 상태에서 반등의 기회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문가들은 2분기를 저가 매수의 시점으로 추천하며, 하반기부터 새로운 주도주의 등장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합니다. 특히, 반도체와 바이오, 방산, 조선, 금융 업종이 유망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투자 전략으로는 상반기에는 저가 매수와 주주 환원 테마에 집중하고, 하반기에는 성장 산업에 대한 투자를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환율 변동성과 공매도 재개 등 수급 여건이 불리할 수 있으므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또한, 글로벌 경제 상황과 국내 정치적 변수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