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대 근무자 고혈압 관련 하여 문의 드립니다
교대 근무자 고혈압 관련 하여 문의 드립니다
회사 특수 검진 시 고혈압 이라고 2차 재검진 예정인데 혈압계 자동측정기로 측정해 보니 168 114 정도인데 그림으오 확인해 보니 고혈압 이라고 합니다
2차 검진을 위해 고혈압약 복용이 좋은지
아님 고혈압을 낮출 빙법은 없는지요
만약 고혈압약 복용을 하면 꾸준히 먹어여 하나요
수축기 140, 이완기 90이상이면 고혈압으로 약물치료를 하는 것이 좋으며 약물치료를 하면 중단하지 않고 계속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교대 근무자는 불규칙한 생활 패턴과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고혈압 위험이 높을 수 있습니다. 혈압계 자동측정기로 측정한 결과 168/114는 고혈압으로 분류되며, 이는 매우 높은 수치이므로 관리가 필요합니다. 2차 검진 을 받기위해서 혈압약을 먹는 것이 아니라 심혈관 합병증 예방을 위해 혈압약 복용이 필요한 수준입니다.
고혈압을 치료하기 위해 비약물적 요법과 약물적 요법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보편적입니다. 초기 단계에서는 비약물적 치료가 강조됩니다. 체중 조절, 건강한 식습관의 채택, 생활습관의 수정, 규칙적인 운동 등이 여기에 포함됩니다. 그러나 고혈압 진단 후에는 약물 치료가 필수적입니다. 흡연은 심혈관 질환의 주요 위험 요인 중 하나이므로, 금연이 권장됩니다.
고혈압 환자는 보통 다른 위험 요인들을 동반하고 있어, 식습관이 고혈압 관리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식이요법은 따라서 매우 중요합니다. 체중 조절, 염분과 알코올 섭취의 제한은 필수적입니다. 특히 체중 감량은 중요합니다. 비만이나 과체중인 경우에는 낮은 칼로리의 식단을 통해 체중을 감량해야 합니다. 이로써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줄이고 약물 치료의 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식이 칼로리가 감소하면 단백질 섭취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적절한 양의 단백질을 공급해야 합니다.
과도한 알코올 섭취는 고혈압과 뇌졸중의 주요 위험 요인 중 하나이며, 약물 치료의 효과를 약화시킬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합니다. 또한 칼슘 섭취량을 늘리고, 섬유소와 불포화 지방산의 섭취를 늘리며, 카페인을 적절히 제한해야 합니다.
3.5
168에 114이면 고혈압니다
특히 180/120 이상이면 악성고혈압이라고 합니다
환자분은 이완기혈압이 많이 높습니다.
혈압약을 꼭 드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