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
통상임금과 평균임금은 어떻게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아하의 인사.노무 전문가님들의 지식 나눔에 감사드립니다.
근로자의 임금과 관련하여 글을 읽으면서 '통상임금'과 '평균임금' 이라는 용어를 만나게 됩니다. 두 가지 용어 사이에 어떤 개념적 차이가 있으며 쓰임은 어떻게 다른지 알고싶습니다.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에서 활동하고 있는 탤런트뱅크 인사HRD전문가입니다. - 통상임금 - 근로자에게 정기적이고 일률적으로 소정근로 또는 총근로에 대해 지급하기 정한 시간급 금액, 일급, 주급, 월급,도급 금액을 모두 포함 합니다. - 1) 근로의 대가여야 하며 - 2) 소정 근로에 대한 대가인 연장, 야간, 휴일 근로수당은 제외 - 3) 지급하기로 정해진 임금 (실제 근무일수나 수령액에 영향을 받지 않음) - 4) 모든 근로자 또는 일정한 조건과 기준에 부합하는 근로자에게 일률적으로 지급 
 - 통상 임금은 시간급으로 산정하고, 연장 / 야간 / 휴일 근로 수당의 지급 기준이 됩니다. - 평균 임금 - 실제 근로자가 지급받은 임금의 일급 개념으로 보면 됩니다. - 계산은 평균 임금을 산정해야 할 사유가 발생한 날 3개월 동안의 임금을 3개월 간의 총 일수로 나눠서 계산 합니다. (만약 무급 휴일 등이 많아서 평균 임금이 통상임금보다 적을 경우에는 통상임금으로 계산 합니다) - 평균 임금은 퇴직금을 지급할 때 기준이 됩니다. - (보통 성과급, 연장 / 야간 / 휴일 근로가 많아 수당 지급이 클 때 퇴직하면 퇴직금도 덩달아 올라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