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활발한당나귀246
활발한당나귀246

미국행 ems 접수 중단 사태가 국제 소포물류 체계에 던지는 질문은 뭘까DY>

우체국이 미국행 ems 접수를 중단한 사례는 단순한 물류 이슈가 아니라 국제 소포물류망의 취약성을 드러낸 사건일 수 있는데, 이 현상이 디지털 무역과 전자상거래 확산에 어떤 문제를 제기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미국행 EMS 접수 중단은 특정 노선의 운항 차질만으로도 글로벌 전자상거래 배송이 멈출 수 있다는 취약성을 드러낸 사례입니다. 온라인 거래가 늘면서 소포 물류망은 국가 간 디지털 무역의 핵심 인프라가 됐는데, 항공편 축소나 통관 지연이 곧바로 소비자 불만과 기업 손실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 사건은 전자상거래가 안정적으로 성장하려면 국가 간 배송망 다변화와 디지털 세관 협력이 필수적이라는 점을 보여줍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미국행 EMS 접수 중단은 단순히 특정 노선의 배송 불편으로 끝나는 문제가 아닙니다. 글로벌 전자상거래가 빠르게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핵심 운송망 하나가 막히면 소비자와 판매자 모두 거래 안정성에 대한 신뢰를 잃게 됩니다. 특히 중소 셀러나 개인 판매자에게는 대체 수단이 마땅치 않아 매출 공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항공 운송망 의존도가 높은 국제 소포물류 구조가 얼마나 취약한지 드러난 사례이기도 합니다. 국가 간 무역에서 디지털 기반 거래가 늘어나면서 배송 지연이나 접수 중단은 곧바로 무역 리스크로 전환됩니다. 결국 물류 인프라와 통관 절차의 다변화가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 생각하게 만드는 사건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여러가지 시각이 있으나 개인적으로는 미국의 소액 화물에 대한 면세제도 폐지가 가장 큰 영향을 끼쳤다고 생각합니다. Deminish라고 불리는 제도는 800불 이하의 화물에 대하여 면세를 해주는 것인데 이러한 제도가 폐지되면서 미국의 특송업체들이 재정비를 위하여 일부 시스템을 중단한것으로 보이기 떄문입니다. 다만 이러한 부분이 큰 영향을 미칠 것은 자명하기에 이러한 정책 전에는 충분한 유예기간이 필요하다고 판단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