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대범한대벌래6
대범한대벌래623.04.21

려몽연합군 일본 정벌 이유와 실패원인은?

13세기 몽고가 고려와 함께 일본 정벌을 시도하였으나 번번히 실패하였는데 일본 정벌 이유과 실패 원인에 대해 궁금하여 문의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4.21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가 간섭을 많이 받고있었고 군사력도 더 약해서 몽골의 주도하에 침략을 해서 공격을 했습니다.

    몽고는 고려를 정복한 후에 고려의 조선술을 이용하여 배를 축조하면서 섬나라 일본에까지 영향력을 행사하려고 한 거라고 보시면 될거같습니다.

    그 당시 정동행성을 세워 일본 정벌의 거점으로 삼았습니다.

    1차 원정 당시 초기 접전에 있어서는 일본군은 연합군에게 크게 밀렸습니다.

    고려와 원은 건국 초기부터 원정에 이르기까지 오랜 전쟁을 하였기 때문에 많은 경험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에 비해 일본군은 대전쟁이 없는 시기에 또한 막부시대로 인해 지나치게 무사위주의 전쟁이 주였습니다. 여몽연합군에 맞써는 일본군에서는 장수들이 공적에 눈이 멀어 자신의 가문과 이름을 외치며 적진으로 혼자 돌진하여 전사할 정도로 어이없는 상황을 연출하기도 하였습니다. 뿐만 아니라 연합군은 각종 화약무기를 동원하여 일본군은 듣도 보지도 못한 무기로 인하여 크게 패퇴한 상황이었습니다. 이 당시 원은 고려군을 선봉으로 세워 일본과의 전투에서 희생양으로 삼을려 하였지만 오히려 고려군의 활약으로 공적을 빼앗길 것을 두려워하여 내륙에 진을 구축하려 하지 않고 오히려 후퇴하여 배에 정박하였고 이 시기에 태풍이 몰아치는 바람에 패배를 했던 것입니다. ( 이당시 고려군의 김방경 장군의 지휘하에 고려함선은 별피해 없이 회군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1차 원정 이후 일본은 대대적으로 여몽연합군에 대한 방비를 철저히 하게 되었고 이후 2차 원정 당시에는 1차 때 만큼의 진격을 할 수 없었고 오히려 일본의 거센 저항에 막혀 고전을 하게 되었습니다. 아무래도 긴 기간동안 일본이 공격에 대해 방비를 할 수 있었고 게다가 적에 대한 전력을 어느 정도 파악 할 수 있었고 2차 원정군의 본대는 중국의 강남군 10만이 주력이었기에 아무래도 선봉군의 진격은 고전을 면치 못한 실정이었습니다. 그런 상황에 강남군을 이끄는 장수의 어이없는 실수로 원정은 패배하게 되는 상황까지 됩니다. 다름이 아니라 1차 원정의 전과를 생각한 강남군 장수는 일본 정벌 후 일본에서 농사를 짓기 위해 선단에 농기구를 가져 가려 하였고 태풍 날짜를 우회한 날짜이자 선봉군과의 조우 날짜를 위한 출발 일정보다 늦게 출발하였고 결국은 바다 위에서 태풍을 맞이 하게 되었고 거의 전멸을 할 정도로 상황에 몰리게 되었습니다. 이 때 얼마나 많은 이가 빠져 죽었던지 고려 바다에 몇날 몇일 동안 사람 시체가 떠내려 왔다고 되어 있을 정도입니다. 본대의 보급 및 군사 지원이 끊긴 선봉군은 일본군에게 고립이 되어 굶게 되었고 결국은 모두 도망치거나 일본군에게 항복하는 패배를 하게 되었습니다.

    전쟁에 있어서 아무래도 공성보다는 수성이 더 용이한 법이며 또한 육지로 연결이 되어 지속적인 국지전을 통해 소모를 시킬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으며 1차 이후 적에게 방비를 할 수 있는 시간과 전력에 대한 누출은 일본이 연합군의 공격에 대해 막을 수 있는 기회를 주었다고 생각이 듭니다. 거기다 칭기즈칸 시절의 몽골군이 아닌 한족화 되어 그 본연의 강함을 상실한 원나라 군대의 용병술의 실패가 가장 큰 원인이라 생각이 듭니다.


  • 안녕하세요. 권태형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본에서는 카미카제라고 부르는 일명 신의 바람때문입니다. 태풍때문에 배가 난파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