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으로 턱수염 제모를시작했는데 질문합니다?
제가 간 곳은 셀프로 마취 크림을 턱 전체를 바르라고 나뒀더라구요. 그래서 나름 잘 바르고 레이저 제모 들어갔는데 엄청 따갑고 아팠습니다. 크림을 더 치덕치덕 발라야되나요? 무슨 팁 같은거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준오 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엠라크림 등의 리도카인의 성분이 포함된 마취크림의 경우는 도포 후 방치하는 시간에 따라 마취 깊이가 달라집니다.
마취크림 도포 후 1시간 후의 마취된 피부의 깊이는 약 3mm, 2시간 후의 깊이는 약 5mm로 알려져 있습니다.
반면 성인 남성 수염의 모낭의 깊이는 수염의 굵기에 따라 다릅니다. 수염이 굵을수록 모낭이 더 깊게 위치하여 마취크림의 효과가 미치는 깊이보다 더 깊은 곳을 타격하기 때문에 마취크림의 효과가 부족할 수 있습니다.
수염이 굵고 억세 통증이 심하다면, 마취크림을 도포 후 많은 시간이 지난 뒤 레이저 제모를 받을 수 있겠으나, 현실적으로 가능한 일은 아닐 것이라고 판단됩니다.
통증이 많이 심하고 불편하시다면 국소마취제 크림이 아닌 수면마취 등의 정맥 마취제를 이용한 제모를 하는 의원을 찾아보시는 것이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턱수염 제모를 시작하셨군요. 셀프로 마취 크림을 사용했다고 하셨고, 레이저 제모 시 통증이 있었다고 하셨습니다. 레이저 제모는 개인에 따라 통증의 정도가 다를 수 있습니다. 마취 크림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크림을 도포한 후 충분히 흡수될 시간을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마취 크림은 바르고 나서 최소 20-30분 정도 기다리면 효과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피부 위에 두꺼운 층으로 바르는 것보다 일정한 양을 고르게 펼쳐서 도포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제모 전날, 피부의 자극을 최소화하기 위해 면도를 하고, 피부가 건조하지 않도록 충분히 보습을 하는 것도 도움될 수 있습니다. 제모가 진행되는 동안 피부가 식을 수 있도록 차가운 팩을 사용하는 것도 통증 완화에 유용할 수 있습니다. 제모 후에는 피부를 진정시키기 위해 알로에 베라나 진정 크림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마취 크림은 보통 30분에서 1시간 정도 피부에 충분히 흡수되도록 바르고 기다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통증이 심하게 느껴지면 크림을 조금 더 두껍게 요구하셔도 됩니다 또한, 레이저 제모 전날 피부를 너무 세게 문지르거나 자극 주시는 건 피하고, 제모 후에는 냉찜질이나 보습제를 사용해 피부를 진정시키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제모는 보통 하는 횟수가 늘어갈수록 덜 아파지십니다
마취 크림을 바르게 되면 마취 크림의 효과로 인해서 통증을 덜 느끼게 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레이저 시술을 할 때에 통증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마취 크림을 아무리 잘 발라주어도 생길 수 있는 소견이며, 그것이 싫다면 국소 마취 주사를 턱 여기저기 주사해주어야 하는데 그러한 주사가 솔직히 더 아픕니다. 마취 크림을 충분히 턱 전체에 걸쳐서 잘 발라주었음에도 따가운 증상이 발생하였다면 현실적으로 감수를 해야 하는 부분일 것으로 사료됩니다.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레이저 제모 시 통증이 있기 때문에 마취 크림을 잘 바르는 것이 중요한데 빠진 부위 없이 꼼꼼하게 바르되 지나치게 많은 양을 바를 필요는 없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