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19

투자할 기업 선정시 분석하는 기업 지표중에서 ROE무엇을 의미하나요?

투자할 기업 선정시 분석해보아야 하는 지표들이 참 많은것 같습니다. 초보 투자자이다보니 어려운데 많네요^^;; 기업 지표중에서 ROE는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류경태 경제전문가blue-check
    류경태 경제전문가23.05.19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ROE라고 하는 것은 'return on equity'의 약자로서 우리나라 말로는 자기자본이익률을 의미합니다. ROE는 투입한 자기자본 대비 회사가 영업활동을 통해서 얼마의 이익을 나타냈는지를 확인하는 지표로서,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 100]의 공식을 통해서 산출하게 됩니다.

    이러한 ROE가 높을수록 해당 회사는 자기자본 투입에 비해서 더 효율적으로 높은 이익을 내는 영업활동을 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ROE가 높을수록 해당 회사의 주식투자의 투자수익률의 가치가 높다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내가 투자한 돈에 비해서 그 기업이 버는 수악을 말하는 것입니다. 즉 roe가 높다는건 그만큼 그 기업을 일을 잘한다는것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ROE는 Return on Equity(자기자본 이익률)의 약어로 일반적으로 백분율로 표현되며,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ROE =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 100

    ROE가 높을수록 기업은 투입한 자본 대비 높은 수익을 내는 기업으로 봅니다


  • 안녕하세요. 홍기윤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영자가 기업에 투자된 자본을 사용하여 이익을 어느 정도 올리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기업의 이익창출능력으로 자기자본수익률이라고도 한다. 산출방식은 기업의 당기순이익을 자기자본으로 나눈 뒤 100을 곱한 수치이다. 예를 들어 자기자본이익률이 10%라면 주주가 연초에 1,000원을 투자했더니 연말에 100원의 이익을 냈다는 뜻이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ROE는 Return on Equity의 약자로, 기업이 자본을 이용하여 얼마만큼의 이익을 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ROE는 당기순이익을 자본총액으로 나누어서 계산됩니다. 여기서 당기순이익이란, 기업이 일정기간동안 창출한 순이익이며, 자본총액이란 기업이 투자한 자기자본입니다.

    ROE가 높은 기업일수록 투자하기 좋은 기업이며, 투자자와 기업의 관리자들은 ROE를 사용하여 다른 기업 혹은 같은 업계의 벤치마크 성장률을 비교하는데 사용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자기자본이익률(Return On Equity, ROE)이란 기업이 자본을 이용하여 얼마만큼의 이익을 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당기순이익 값을 자본 값으로 나누어 구하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조유성 AFPK입니다.

    ✅️ ROE는 '자기자본이익률'로, 기업이 주주의 출자 자본을 얼마나 잘 굴려서 수익을 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실제로 워런 버핏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지표이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ROE는 자기자본이익율. 즉, 기업의 자기자본에 대한 이익 비율입니다. ROE는 회사의 순이익을 자기자본으로 나눠서 계산을 합니다. 쉽게 말해서 자본이 100인데 1년동안 10을 벌엇다면 ROE는 10%가 되는거죠.


  • 안녕하세요. 양원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ROE는 Return on Equity의 약자로, 자기자본이익률을 의미합니다. 즉, 기업이 자본을 활용하여 얼마나 많은 이익을 창출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ROE를 계산하려면 당기순이익을 총자본으로 나누면 됩니다.

    ROE가 높을수록 기업이 자본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이익을 창출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만 기업의 규모, 산업, 재무 구조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단순히 ROE만 보고 기업의 재무 성과를 판단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그래도 기업의 이익을 측정하는데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roe는 return on equity의 약자로 투하자본 대비 수익률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실적지표 중 하나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자기자본이익률(ROE)이란 기업이 자본을 이용하여 얼마만큼의 이익을 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를 말합니다.

    당기순이익 값을 자본 값으로 나누어 구하며 ROE에 대한 설명은 아래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ecodemy.cafe24.com/roe.html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roe와 같은 경우 자기자본이익률로

    예를 들어 100만원으로 사업을 시작하고 20만원을

    벌었다면 roe는 20%입니다.

    높을수록 좋다고 판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